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37

몬순소용돌이(Monsoon Gyre) 몬순소용돌이(Monsoon Gyre-"몬순 자이어"라고 읽습니다)는 여름철 북서태평양 구역의 매우 큰 원형에 가까운 저기압 소용돌이(순환장)을 의미합니다.이 광범위한 영역의 소용돌이에 대해서 특별히 정의된 크기는 없으나 보통 그 직경이 일기도상의 폐곡선 기준으로 적어도 1500km이상, 큰 경우에는 2000~2500km에 이를 정도로 광범위한 영역에 낮은 강도의 순환류를 가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수명도 최소 1주일에서 길면 2주일에 이르며, 그 구조적 특성도 태풍과 같은 열대성 저기압이나 대륙 인근에서 발생하는 몬순저기압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발생시 상황을 보면 서풍인 몬순기류가 남쪽에 자리하고 동풍인 무역풍 혹은 아열대 고기압(보통 북태평양 고기압)의 남쪽 경계선이 북쪽에 자리하면.. 2022. 8. 18.
8호 태풍 메아리 정보 - 도쿄 인근 스루가 상륙(2022.08.13. 21:00 기준) 8호 태풍 메아리는 현재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 남서쪽 약 165km해상인 35.7°N 140.1°E이며, 지리적으로는 도쿄 남서쪽 스루가 만에 막 진입하여 일본 도쿄 인근을 관통중입니다. 현재 8호 태풍 메아리의 중심기압은 997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55km(30노트)로 강풍 강도로만 보면 열대저기압(TD)단계로 약화한 수준인데요, 당초 JTWC에서 예상하였던 중심최대풍속 55노트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일본기준으로는 998hPa, 40노트) 8호 태풍 메아리의 적외선 이미지를 보면 뚜렷한 눈 구조 자체를 형성하지 못한 상태로 계속해서 북상해 왔던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지금 상태는 중심부의 연직구조는 확실한 열대저기압의 특성이지만 진행방향 우측에 나타나기 시작하는 별도의 비구름선과 북.. 2022. 8. 13.
8호 태풍 메아리 발생정보(2022.08.12. 03:00 기준) 북서태평양의 태풍 명명권을 가지고 있는 일본기상청(RSMC-JMA)에서는 한국시간으로 8월 12일 오전 3시에 90호 열대요란(미국 식별부호)이 발달하여 8호 태풍 메아리가 발생하였음을 발표하였습니다. 현재 8호 태풍 메아리의 위치는 일본 고베 간사이 국제공항에서 남남동쪽으로 약 63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28.8°N 135.9°E 인근 지점으로 현재 중심기압은 999hPa(미국기준, 일본기준은 1004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65km(35노트)의 열대폭풍(TS)급 강도로 북상중에 있습니다. 일단 국제 예보모델들은 모두 별다른 이견 없이 8호 태풍 메아리의 진로가 일본 도쿄를 거쳐가는 경로를 예상중입니다. 다만 태풍의 예상 발달 강도는 TS급 정도로 제한될 것으로 보이며, 좀 더 발달하더라도 .. 2022. 8. 12.
7호 태풍 무란 소멸정보 및 8호 태풍 메아리 발생 임박 정보(2022.08.11. 09:00 기준) 1. 7호 태풍 무란 소멸정보 7호 태풍 무란은 8월 11일 오전 8시 무렵 베트남 북부 할롱 인근 해안으로 상륙하면서 그 세력이 약화, 소멸단계에 들어섰습니다.(998hPa, 37km/h[20노트]) 일단 태풍 명명권을 가진 일본 기상청은 이 열대저기압에 대해 7호 태풍 무란이라는 이름을 붙였었지만 미국 JTWC에서는 TCFA통보문 발령까지는 갔었으나 태풍 아랫단계인 TD(열대저기압) 취급도 하지 않고 몬순저기압으로 판별하고 있었습니다. 일단 태풍 자체는 소멸단계에 들어섰으나 동반된 비구름의 양이 꽤 상당한지라 이 비구름들이 한동안 베트남과 중국 남부 일대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2. 8호 태풍 메아리 발생 임박 정보 한편, 일본과 한국 기상청에서 열대저기압(TD)판정을 한 90호 열대요란에 대.. 2022. 8. 11.
90호 열대요란 발달정보 - 8호 태풍 메아리로 발달할 가능성 생겨(2022.08.10. 09:00 기준) 어제(8월 9일) 올렸던 7호 태풍 무란의 발생정보 뒤쪽에 간략하게 언급했던 90호 열대요란이 밤 사이에 추가 발달이 이어지면서 미국 합동경보센터(JTWC)에서는 이 90호 열대요란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중간(Medium)단계로 한 단계 더 상향시켰습니다.(한국 기상청 일기도의 우측 주황색 원) 현재 일본 이오토(이오지마) 자위대 기지에서 동쪽으로 약 10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24.8N 142.3E 지점(도쿄 하네다 국제공항 남남동쪽 약 1250km)에 자리한 90호 열대요란은 현재 중심기압 1006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37km(20노트) 가량의 열대요란입니다. 다만 이 90호 열대요란이 실제 8호 태풍 메아리로 발달할 가능성은 아직까지는 반반으로 생각되는데요, 일단 주변의 연직시어 .. 2022. 8. 10.
7호 태풍 무란 발생정보 - 중국 남부 상륙 예상(2022.08.09. 21:00) 2022년 8월 9일 오후 3시 기준으로 북서태평양 구역의 태풍 명명권을 가진 일본기상청에서 7호 태풍 무란의 발생을 공식 발표하였습니다. 지난 97호 열대요란에서 기원한 7호 태풍 무란은 현재 중국 하이난섬의 싼야 펑황 국제공항에서 동쪽으로 약 32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6.9°N 113.4°E 부근 지점에서 북서쪽 방향으로 시속 약 18km(10노트)가량의 속도로 이동중에 있습니다. 일본 기상청과 한국 기상청은 이 7호 태풍 무란의 세력을 중심기압 996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65km(35노트)의 열대폭풍(TS)등급의 세력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미국 JTWC에서는 이보다는 다소 약한 중심기압 1000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46km(25노트)의 열대저기압(TD) 등급으로 판정하고 있.. 2022. 8. 9.
2022년 8월 폭우 - 때 이른 가을장마 패턴(2022.08.09. 00:00 기준) 2022년 8월 8일 서울 수도권 일대에 정체전선이 활성화되면서 집중호우가 발생, 곳곳에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등 한여름 때 아닌 장마전선의 발달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였습니다(이 글을 쓰는 시점 기준으로는 경기 남부지방이 집중호우대의 중심지에 해당하고 있습니다. 보통 보라색 상황만 되어도 미친 수준의 집중호우인데 그걸 넘어서는 청남색 구역이 보이는 정도니까... 레이더만 확인해도 시간당 90~100mm를 상회하는 곳도 있을거라는 생각입니다) 일부 언론에서는 이번 강수를 장마전선의 재발달로 이야기하는 경우도 있는데 단순하게 원인으로만 따지면 장마와 동일한 방식으로 발달하는 정체전선에 의한 것이지만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말하는 장마는 7~8월 폭염 시작 이전 더운 공기가 밀고 올라오면서 발달하는 전선대에 의.. 2022. 8. 9.
97호 열대요란 - 7호 태풍 무란으로 발달전망(2022.08.08. 21:00기준) 어제(8월 7일) 올린 포스트에서 8월 3일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발생한 이후 필리핀 루손 서쪽으로 이동한 97호 열대요란이 7호 태풍 무란으로 발달할 가능성이 생겼다고 포스팅을 하였었는데요, 바로 다음날인 오늘(8월 8월) 오후 3시에 한국 기상청과 일본 기상청에서는 97호 열대요란에 대해서 통보문을 발표하면서 97호 열대란이 7호 태풍 무란으로 발달할 가능성을 시사하기 시작하였습니다.(한국 기상청 기준 15호 열대저압부) 일단 미국 JTWC의 해석값을 기준으로 보면 97호 열대요란의 위치는 베트남 중부 다낭 국제공항에서 동쪽으로 약 50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6.0°N 112.9°E지점에 자리하고 있으며, 중심기압은 1000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46km(25노트) 가량으로 보고 있습니다.. 2022. 8. 8.
97호 열대요란 발달정보 - 7호 태풍 무란 발생 가능성(2022.08.06. 21:00 기준) 한국시간 기준으로 지난 8월 3일 21:00에필리핀 루손 동편 해상에서 열대요란 부호가 붙었던 97호 열대요란이 현재는 그 위치가 필리핀 루손 섬을 동쪽에서 서쪽으로 관통하여 현재는 루손 서쪽 해역(마닐라 국제공항 서북서쪽 약 670km 해상)인 16.4°N 116.1°E 지점 부근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현재 97호 열대요란의 중심기압은 1004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37km(20노트) 수준으로 당초 루손 동편 해역에 있을 당시에는 루손 섬과의 마찰로 태풍 발달 가능성을 바라보고 있지 않았으나 현재는 루손을 서편 해역으로 그 중심부가 이동함에 따라 육지와의 마찰이 점차 적어지면서 제7호 태풍 무란으로 발달할 가능성이 있는 후보 열대요란이 되었습니다(JTWC 기준으로 24시간 이내 열대저기압으로 .. 2022. 8.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