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37

올해 장마 특성(2022.07.18.까지)과 단기간(7.19~24) 전망 올해(2022년) 장마는 시작 자체는 평년과 크게 차이가 없는 6월 24~25일 무렵에 시작하였지만 지역간 편차가 매우 크고, 특히 일부지역에서는 아직까지도 가뭄 해갈을 완전히 하지 못하는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처음 장마의 시작 당시부터 좀 특이한 양상으로 장마가 시작된 것이 그 원인이라 할 수 있겠는데요, 일단 우리가 한국지리시간의 교과서에서 배우는 장마의 특성(평년값)은 남쪽에서 형성된 정체(장마)전선이 북태평양 고기압의 북상에 따라 서서히 북상하면서 장마가 남쪽부터 시작하여 북쪽으로 완전히 북상하면 그 때 부터 본격적인 여름날씨가 시작된다는 것이 우리나라의 장마와 전반적인 여름철 기후 특성이었습니다. 그러나 올해 장마는 시작 지점이 남부지방이 아닌 중부와 북부지방부터 시작하였고(6월 23.. 2022. 7. 18.
90호 열대요란 정보(2022.07.11. 15:00 기준) 한국시간으로 지난 7월 9일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발생하였던 90호 열대요란이 서서히 발달하면서 7월 10일부터는 JTWC의 열대요란 추적 표시가 붙게 되었습니다. 현재 90호 열대요란의 중심부는 필리핀 마닐라 국제공항에서 동쪽으로 약 55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4.5°N 126.1°E 인근 지점에 자리하고 있으며, 중심기압 1005hPa, 중심최대풍속 시속 약 28km(15노트)가량의 강도를 가진채 서서히 북상중에 있습니다. 일단 주변환경을 보면 29~30℃의 고수온 영역에 자리하고 있고, 낮은 수준의 연직시어(5~10노트) 환경에 있는 만큼 향후 발달에 유리한 환경이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현재 열대요란이 이동중인 방향인 북서쪽 방향으로는 낮은 연직시어 구역이 루손에서 대만 사이의 영역에 펼쳐져.. 2022. 7. 11.
4호 태풍 에어리 정보 - 예상보다 이른 소멸단계 진입(2022.07.03. 15:00 기준 정보) 4호 태풍 에어리는 현재 제주국제공항에서 남쪽으로 약 59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28.2°N 126.9°E 인근 지점에서 시속 약 9km의 속도(5노트)로 북서진(방위각 325º)중에 있습니다. 현재 태풍의 중심기압은 999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55km(30노트)로 이미 태풍 풍속 기준치인 시속 64km(35노트)아래로 떨어지면서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된 상태입니다. 이러한 태풍의 상태는 당초 북서쪽 구역의 강한 연직시어로 인해 크게 발달하지 못하고 몬순저기압과 열대폭풍 둘 사이에 양다리를 걸치면서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 초기의 모습을 제대로 극복하지 못한 것이 큰 요인으로 보이는데요, 그래도 당초 제주도와 남부지방 부근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 수 있는 태풍일 것이라 예상하였으나 상당히 이른 시기.. 2022. 7. 3.
3호 태풍 차바 중국 상륙, 4호 태풍 에어리는 일본으로 향할 듯(2022.07.02. 15:00 기준 정보) 1. 3호 태풍 차바 정보 3호 태풍 차바는 한국시간으로 7월 2일 15시 현재 중국 광둥성 잔장 공항에서 동쪽으로 약 85km떨어진 21.2°N 111.2°E 인근 지점까지 진출하였으며, 곧이어 중국 남부 해안선(광둥성 마오밍 시 인근)에 상륙하였습니다. 상륙 직전 3호 태풍 차바의 세력은 중심기압 969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130km의 TY급의 태풍까지 발달(SSHS 1등급에 해당)하였으나, 현재는 중국 대륙에 상륙하면서 추가적인 발달은 하지 않고 이후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된 이후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될 것으로 보입니다.(3호 태풍 차바 분석 종료) 상륙 직전 꽤 강한 강도까지 발달하였던 태풍 차바로 인해 베트남 북부지역과 중국 남부, 홍콩, 마카오 일대까지 태풍의 직접 영향권에 들었으며, 상.. 2022. 7. 2.
3호 태풍 차바 정보 및 4호 태풍 에어리 발생정보(2022.07.01. 15:00 기준) 1. 3호 태풍 차바 정보 3호 태풍 차바(TS Chaba)는 현재 중국 하이난 싼야 국제공항에서 동북동쪽으로 약 450km, 홍콩 국제공항에서는 남쪽으로 약 37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9.0°N 113.6°E 인근 지점에서 시속 약 15km(8노트)의 속도로 북서진하고 있습니다(방위각 325º) 현재 3호 태풍 차바의 중심기압은 982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102km(55노트)의 열대폭풍 강도로 현재 중국 하이난과 홍콩, 마카오 일대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앞으로 세력을 서서히 강화시키면서 한국시간 기준으로 7월 2일 오후에서 저녁시간대 사이에 중국 남부 광둥성 잔장 동쪽 해안선에 상륙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무렵 태풍의 예상 중심풍속이 시속 약 130km(70노트)까지 강화되면.. 2022. 7. 1.
3호 태풍 차바 발생 및 4호 태풍 에어리 발생 임박(2022.06.30. 15:00 기준) 1. 3호 태풍 차바 발생 정보 어제 발생이 임박하였음을 알려들인 97호 열대요란이 추가 발달하여 한국시간 기준으로 오늘(6월 30일) 오후 3시 기준으로 태풍 명명권을 가진 일본기상청(RSMC Tokyo)에서 3호 태풍 차바의 발생을 공식 발표하였습니다. 현재 3호 태풍 차바는 홍콩 국제공항에서 남쪽으로 약 72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6.0°N 115.5°E 인근 지점에서 중국 하이난 동쪽 방향을 향해 시속 약 9km의 속도(5노트)로 서북서진중이며, 중심기압 994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65km(35노트)의 열대폭풍(TS)등급입니다. 앞으로 3호 태풍 차바는 하이난 인근까지 서서히 세력발달을 이루면서 이동할 전망이며, 중국 남부지방에 상륙하기 직전에는 SSHS 1등급 허리케인에 준하는 강.. 2022. 6. 30.
97호 열대요란 발달정보 - 3호 태풍 차바 발생 임박(2022.06.29. 21:00 기준) 며칠 전부터 열대저기압 또는 태풍으로의 발달 가능성이 있던 97호 열대요란이 지속 발달하면서 미국 JTWC에서 열대저기압 형성 경보(TCFA)를 발표하면서 제3호 태풍 차바의 발생이 임박하였습니다. 현재 97호 열대요란은 홍콩 국제공항에서 남남서쪽으로 약 86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5.1N 116.9E 부근 지점에서 남서 방향으로 매우 느린 속도(시속 약7.4km/4노트)로 이동중에 있습니다. 현재 열대요란의 중심기압은 999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46km(25노트)수준으로 현재 태풍 명명권한을 가진 일본 기상청이나 한국 기상청에서는 이보다 좀 더 강한 수준인 시속 54~55km(30노트) 정도로 보고 있어 이 상태대로라면 이르면 내일 중 2022년 제3호태풍 차바가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2022. 6. 29.
97, 98호 열대요란 정보(2022.06.28. 21:00 기준) 1. 97호 열대요란 발달 정보 27일 기준으로 필리핀 루손 섬 동쪽에 자리하고 있던 97호 열대요란(97W)은 현재 루손을 완전히 관통하여 현재는 홍콩 국제공항에서 남남동쪽으로 약 80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5.5°N 116.5°E 인근 지점에서 북~북서쪽 방향으로 이동중에 있습니다. 현재 97호 열대요란의 중심기압은 1000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37km(20노트)가량으로 발달한 상태이며, 적외선 위성 영상에서도 어제 대비 중심 대류구역이 상당히 안정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주변 여건을 보면 연직시어는 어제보다 다소 높아진 편으로 남서쪽 구역의 연직시어가 비교적 높고, 북동쪽 구역의 연직시어가 낮은 편에 속해 완전한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는 아닙니다. 다만 해수면 온도가 31℃를 상회하는 .. 2022. 6. 29.
97호 열대요란 발생정보(2022.06.27. 18:00 기준) 우리나라에 장마권에 접어든 현재 한동안 조용하던 북서태평양구역에 참으로 오랜만에 새로운 열대요란이 하나 발생하였습니다.(97W, 6/26 15:00 발생 판정) 현재 97호 열대요란의 위치는 필리핀 마닐라 국제공항에서 북동쪽으로 약 16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5.5°N 122.1°E인근 지점이며, 현재 중심기압은 1008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28km(15노트)수준의 발생 초기 열대요란에 해당합니다. 다만 한동안 북서태평양 구역에 이렇다할만한 열대성 기상현상 자체가 없었던데다가 라니냐의 영향으로 필리핀 부근 북서태평양 구역의 해수면 온도는 말 그대로 끓어오르는 수준인 31~32℃ 수준이라 해수 잠열이 매우 풍부한 상태입니다. 또한 필리핀 루손 인근의 연직시어도 꽤 낮은 수준인만큼 태풍 발달에.. 2022. 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