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대급 규모의 당근형 구름과 절리저기압 블로킹(2025년 7월 극한호우) 기상청 예보기술에서는 편서풍대에서 고기압이나 저기압이 정체하면서 기류가 서풍계열에서 남북풍 계열로 변화하거나 그 벡터값이 변화하는 것을 블로킹이라고 말하며, 이런 추세가 5일 이상 지속될 경우를 블로킹 현상이라고 합니다.이러한 블로킹 현상은 주로 500hPa영역에서의 일기도로 판단하는데 다음과 같은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고 합니다.이번 7월 13일부터 시작된 전국단위 장마는 이 중 절리저기압형 블로킹에 의해 발생한 집중호우로 그 조짐은 이미 10일 이전부터 어느 정도 예고되어 있는 상태였습니다.다만 장파골이 어느 정도 깊이로 밀고 내려오는지에 대한 변동성이 마지막까지 꽤 큰 상황이었는데요, 7월 14일 500hPa영역 일기도에서 절리저기압이 블로킹이 걸린 모습을 보면 생각 이상으로 강력한 수준의 절리저.. 2025. 7. 17.
2025년 정체전선 형성 - 아직은 장마 시작 이전(2025.05.19. 21:00 기준 일기도) 5월 19일 21시 기준 한국 기상청 지상일기도에서 양쯔강 이남 북위 30도선 언저리에 정체전선 표시가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북쪽의 한랭기단과 남쪽의 온난기단이 충돌하는 경계선이 뚜렷해지는 것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습니다.아직 이걸 완전히 장마전선이라고 말하기는 조금 이른 감이 있지만, 통상 이 시기 대만 언저리에서 형성되는 정체전선의 북상이 곧 우리나라의 장마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생각하면 일단 2025년 장마가 시작될 수 있는 조건이 서서히 만들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한편 일본 기상청에서도 마찬가지로 정체전선이 일기도상에 표시되고 있는데, 지난 며칠간의 추이를 보면 대략 5월 초입까지는 이동성 저기압에 동반된 전선대의 연이은 통과 정도로 볼 수 있는 수준이었으나 5월 5일에서 7일 사이.. 2025. 5. 20.
2025년 설 연휴 날씨 전망(2025.1.24. 15:00 자료 기준) 1. 지상일기도 상황지상일기도를 보면 현재 북만주 지역에 자리한 지상 고기압이 남동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중 현재 이동 방향이 지속될 경우 주말 사이에 고기압 중심부가 연해주 인근에 자리하면서 동해안 지역에 북동풍이 들어오는 위치가 됩니다.통상 설 연휴 시기 북동풍이 불 경우 강원 영동 산간을 중심으로 매우 많은 눈 또는 비가 내릴 가능성이 있는데 기온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일반적으로 2월 무렵 북동풍이 부는 동해안 지역의 상황을 보면 산간은 눈, 아래쪽은 비나 진눈깨비, 눈이 여건에 따라 다르게 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다만, 850hPa영역의 온도선을 보면 현재 0℃선이 울산 부근까지 내려와 있는 만큼 이 위쪽 지역의 경우는 해안가라 하더라도 비보다는 눈이 내릴 가능성이 높습니다.정확한 강설량 예측은 어.. 2025. 1. 24.
2024년 8월 북서태평양 구역의 몬순자이어(Monsoon gyre)(2024.08.05. 기준) 지난 포스팅( 2024년 무더위와 몬순자이어(2024.08.01. 09:00 일기도 기준))에서 언급했던 일본 도쿄 남쪽 앞바다의 몬순자이어가 현재는 서쪽으로 이동, 오키나와 남동쪽 부근 해상까지 이동한 상태입니다.한국 기상청에서는 9호 열대저기압(TD 2409)으로 분류하고 있고, 미국 JTWC에서는 몬순자이어의 중심부를 91호 열대요란으로 식별하면서 열대요란 추적 마크를 붙인 상태이며, 순환장의 동쪽과 서쪽 끝자락에서 돌출되는 순환장이 형성되는 것을 각각 93호 열대요란과 94호 열대요란으로 구분하고 있는 상태입니다.위성 이미지로 살펴보면 91호 열대요란은 직경이 약 2000km에 이르는 거대한 순환장을 이루고는 있으나 그 순환 강도 자체는 아주 강하지 않고, 중심부의 구름 형태도 소용돌이 형태가 하.. 2024. 8. 5.
2024년 무더위와 몬순자이어(2024.08.01. 09:00 일기도 기준) 1. 들어가며지난 7월 27일 장마가 끝나고 한반도 전역에 본격적인 폭염이 시작되었습니다.장마 종료 직후 강원도 태백을 제외한 전국에 연일 폭염특보가 이어졌었고, 8월 1일 현재는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제주 고산지대를 제외한 전국에 모두 폭염특보가 발효되면서 전국을 찜통속에 밀어넣고 있는 상황입니다. 2. 이중 고기압에 갇힌 한반도 상황우리나라는 여름철 장마 종료 이후부터는 전통적으로(?) 북태평양 고기압의 세력이 본격적으로 지배기단이 되면서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다만 매년 이 북태평양 고기압의 봉우리 위치에 따라서 우리나라의 더위의 세부적인 상황이 달라지는데요, 일단 500hPa영역에서의  8월 1일 현재 북태평양 고기압 경계선인 5880gpm선을 기준으로 선을 그어보면 위의 .. 2024. 8. 1.
사실상 2024년 장마 종료(2024.07.27. 21:00 자료 기준) 1. 지상일기도 상황7월 27일 기준 한국기상청의 지상일기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3호 태풍 개미는 중국 내륙에서 열대저기압으로 약화장마전선의 위치는 만주와 한반도 국경지대 인근까지 북상일단 3호 태풍 개미의 한반도 영향은 습한 하층 제트기류를 우리나라 방향으로 밀어넣는 역할을 하면서 장마전선 남쪽의 대기불안정구역을 제대로 형성하는 역할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이유로 26~27일 내내 도깨비같은 국지성 소나기가 곳곳에서 내리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열대저기압으로 약화한 3호 태풍 개미의 중국 내 진로는 우한-정저우-스좌장-베이징-센양 부근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일대는 저기압에 동반된 비구름으로 인한 홍수 피해 발생 가능성이 높습니다.2. 상층 기단.. 2024. 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