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장마 - 시작은 마른 장마? 조만간 본격 시작 예상(2024.06.26. 기준) 지난 6월 20일 제주도를 시작으로 장마가 시작되었고, 22일 무렵에는 중부지방까지 장마 영향권에 들면서 2024년의 장마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었는데요, 이후 장마전선이 남쪽으로 물러가면서 전국적으로 비가 오지 않는 마른 장마 상황이 며칠째 이어지고 있습니다.현재 장마전선의 위치는 장마 시작 직전인 6월 18일 즈음과 유사한 중국 양쯔강 하구-제주도 남쪽 해상-일본 규슈를 연결하는 선 부근에 동서 방향으로 가로놓인 형태인데요, 지난 주말인 22일 중부지방까지 한번 올라왔던 것을 제외하면 며칠째 한반도에 직접적인 영향은 주지 못하고 소강상태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현재 지상 일기도 상황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중부지방에 이동성 고기압이 강하게 자리잡고 있고, 일본 남쪽에 북태평양 고기압이 그 세력을 서쪽 .. 2024. 6. 26. 2024년 장마기록 - 관서용 관측소 일별 강수 현황(6.20.~6.23.) 기상청 지역별 상세관측값(신규) 중 관서용 AWS(자동기록장치)에 기록된 일별 강수 현황(하루 누적)값 현황입니다.공식 자료는 아닌 참조용 자료이나, 전국 주요지점의 일별 강수량 변화를 확인하는데는 큰 무리가 없는 값이라 볼 수 있습니다.장마로 인한 강수기록이 시작된 6월 20일부터 첫 주말인 23일까지의 값이며, 중간의 빨간색 글자는 해당 일자의 기록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날이어서 완전히 신뢰하기는 조금 어려운 값임을 감안하고 보셔야 합니다.관측소명6월20일6월21일6월22일6월23일합계속초--8.317.726북춘천--13.7316.7철원--727.534.5독도--13.50.514동두천--15.64.720.3파주--10.4717.4대관령--16.511.227.7춘천--15.64.520.1백령도--4.96.. 2024. 6. 24. 2024년 장마 시작 - 6월 20일 언저리부터 시작할 듯(2024.06.17. 기준 예상) 지난 6월 14일에 올린 포스팅에서 2024년의 장마 시작 시점을 대략 6월 21일을 전후한 시점으로 내다보았었는데, 당시에는 120시간 너머 시점인 150~180시간 기준 예상이어서 어느정도 오차가 있는 상황이었습니다.가시권에 들어오기 시작한 2024년 장마 시점(2024.06.14. 기준) (tistory.com) 가시권에 들어오기 시작한 2024년 장마 시점(2024.06.14. 기준)2024년 6월에 들어서면서 대만-일본 남쪽 태평양 해상 사이에 정체전선이 보다 뚜렷하게 형성되기 시작하였고(형성 자체는 5월 무렵부터 형성되기 시작), 6월 중순이 되면서부터 이 전선대의 활성typhoon-air.tistory.com이후 3일이 지난 6월 17일 현재 72시간 예측 범위에서 2024년 장마 시작시점이.. 2024. 6. 17. 가시권에 들어오기 시작한 2024년 장마 시점(2024.06.14. 기준) 2024년 6월에 들어서면서 대만-일본 남쪽 태평양 해상 사이에 정체전선이 보다 뚜렷하게 형성되기 시작하였고(형성 자체는 5월 무렵부터 형성되기 시작), 6월 중순이 되면서부터 이 전선대의 활성화가 눈에 띄게 확연해짐에 따라 이제 2024년 장마 시작 시점과 관련한 이야기를 슬슬 지작할 때가 되었다고 생각됩니다.현 시점인 6월 14일 기준 지상일기도를 살펴보면 장마전선(정체전선)은 중국 남부에서 오키나와, 일본 남쪽 태평양 먼 해상(북위 29~32도선 부근 구역)에 동서로 길게 뻗어 있으며, 상층의 제트기류(장마전선 북쪽 빨간 선)과 하층의 제트기류(장마전선 남쪽 보라색 구역)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기류를 불어넣으면서 장마전선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되는 상황이 보입니다.이를 위성 이미지에 대입하여 보면 위와 .. 2024. 6. 14. 노토반도 지진 발생으로 인한 동해 해수면 높이(조위) 변화(2024.01.01.~01.02.) 일본 노토반도 지진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지진해일(쓰나미)로 인한 동해방면 조위관측소의 값 변화입니다. 일반적인 파도의 높이를 뜻하는 파고와 달리 조위는 조수 간만 등으로 인한 해수면의 높이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 계산에 의한 예측이 가능한 값이며, 특별한 일이 없다면 일정 범위를 오가는 그래프가 일반적입니다. 이를 반대로 생각하면 비정상적인 조위값이 나타날 경우 뭔가 특별한 상황이 벌어졌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상세 정보를 원하시는 경우 국립해양조사원의 실시간해양관측정보시스템(KOOFS) (khoa.go.kr)에서 직접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실시간해양관측정보시스템(KOOFS) www.khoa.go.kr 다음은 동해안의 조위관측소의 관측값 변화 그래프입니다. 아래의 각 조위 관측소별 .. 2024. 1. 2. 2024년 1월 1일 JTWC 쓰나미 통보문 ALL STATIONS de JTWC, a tsunami wave has been forecasted IVO Near West Coast Of Honshu, Japan. TSUNAMI WAVES REACHING 0.3 TO 1 METERS ABOVE THE TIDE LEVEL ARE POSSIBLE FOR SOME COASTS OF: DPR OF KOREA... JAPAN... AND RUSSIA. TSUNAMI WAVES ARE FORECAST TO BE LESS THAN 0.3 METERS ABOVE THE TIDE LEVEL FOR THE COASTS OF: REPUBLIC OF KOREA. 약 0.3m 내외의 쓰나미가 예상되며, 1m가 되지 않는다고 우습게 여길게 아닌게 바닷물 전체가 0.3m정도.. 2024. 1. 1. 이전 1 2 3 4 5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