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저기압의 급속강화 현상(RI 현상) 설명열대저기압의 급속강화(Rapid Intensification, RI) 현상은 열대저기압이 단기간에 극단적으로 빠른 속도로 강화되는 현상을 의미하며, 온대저기압에서 나타나는 폭발성 저기압(일명 폭탄저기압)과는 구분되는 열대저기압 고유의 현상입니다.미국의 국립 허리케인 센터(NHC)에서는 이 급속강화 현상의 정의를 24시간 이내에 열대저기압의 중심최대풍속이 이전 대비 최소 30노트(시속 55km) 이상 더 강화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https://www.nhc.noaa.gov/aboutgloss.shtml 참조)참고로 2005년 이전까지는 NHC에서는 급속 심화(rapid deepening)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이 당시의 기준은 24시간 이내에 열대저기압의 중심기압이 42hPa(milibar.. 2023. 8. 25. 2023년 가을장마 전망(2023.08.21.) 8월 21일 21시 현재 기상청 종합영상을 살펴보면 북한 평양지역을 중심으로 강한 전선형 강수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됩니다. 시기와 형태상 전형적인 가을장마(2차 우기)의 시작으로 보이는데요, 조만간 중부지방도 가을장마의 영향을 받는 시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한국 기상청에서는 가을장마라는 용어는 공식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있지만 매년 한랭기압골의 영향으로 폭우 이후 실질적인 여름 더위가 종료되는 상황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매년 있어왔던 일이고, 시기와 전선형 강수라는 특성상 공식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고 하여 그 현상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하절기의 장마철에 비하면 기간이 짧고, 상대적으로 더 좁은 구역에 집중호우를 유발하는 경우가 많은 특성은 여름 장마철과는 구분되는 .. 2023. 8. 21. 99호 열대요란의 한반도 영향과 시사점(2023.08.19. 사례) 한국시간으로 8월 18일 오후 3시 무렵 규슈 서쪽 해상에서 발생한 99호 열대요란이 8월 19일 14시 무렵 거제도 방향으로 상륙(기상청 바람벡터 기준 분석)하면서 우리나라 남해안 일대에 순간적인 집중호우가 내리는 지역이 곳곳에 있었습니다. 발생 당시의 99호 열대요란은 발생 당시 1009hPa, 중심최대풍속은 약 15노트 수준이었고, 특별히 체크할만한 내용이 있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위성 이미지와 기상청 종합영상을 살펴보면 뭔가 태풍의 구름대 비스무리한것이 스멀스멀 기어올라오는게 딱 보이는데요, 눈 구조까지 보이는 것이 영락없는 태풍의 형태와 동일한 소형 저기압의 형태가 뚜렷히 구분됩니다. 상륙 당시 기압을 보면 중심기압은 약 1006~1008hPa 정도였으며, 중심최대풍속은 미국의 1분 평균.. 2023. 8. 19. MSN의 7월 한달내내 비 예보 검증결과 지난 7월 초, MSN이 한달 장기예보를 '7월 한달 내내 3일 빼고 비'예보를 한 것에 대해서 대체 뭔 깡으로 이런식의 예보를 하는건가 싶다는 글을 올린적이 있었는데요, 이제 7월도 다 지나갔으니 이에 대한 결과를 확인해 보고자 합니다.관련 글 : https://typhoon-air.tistory.com/804 MSN 7월 날씨 전망 되짚어보기7월 1일이 되면서 지난 5월부터 떠돌던 '7월 한달내내 비' 괴담의 검증을 바로 시작해 보려고 합니다. 당시 온라인에서 퍼진 이 내용을 보자마자 제 머릿속에 처음 든 생각은 "대체 간이 얼마나 부typhoon-air.tistory.com일단 맨 위의 캡쳐 화면에서 지역은 대한민국 서울이며, 나온 문구는 다음과 같습니다이번 달은 대부분비일 것입니다. 평균 일일 최.. 2023. 7. 31. 2023년 장마 종료?(2023.07.26.) 1. 장마 종료 소식 7월 26일 갑자기 장마가 종료되었다는 좀 뜬금없는 소식이 들어왔습니다. 개인적으로는 29일을 전후로 한반도 전역의 장마가 종료될 것이라 생각하고 있어서 조금은 당황스러운 뉴스였는데요, 정확히는 중부와 남부지방의 장마가 종료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기상청의 위성 이미지를 살펴보면 장마전선 자체는 현재 북한지역인 평안북도와 함경도 일대에 걸쳐져 있고, 그 바로 남쪽에 5880선이 경기 북부 인근까지 밀고 올라온 상태입니다. 다만 500hPa영역 일기도에서 확인되는 상층 한랭 온도골의 영향으로 장마전선과 무관하게 북태평양 고기압 세력권 안쪽임에도 불구하고 중부와 남부지방은 매우 강한 대기 불안정이 발생하여 곳곳에 소나기구름이 강하게 발달하고, 곳에 따라 뇌운현상이 나타나기도 하는 것.. 2023. 7. 26. 7월 13일부터의 폭우 종료(2023.07.19. 0:00) 지난 13일부터 충청과 남부지방 일대에 극한강수를 곳곳에 유발한 장맛비는 전선대 자체가 동해상으로 서서히 빠져나가면서 일단 종료된 상태입니다. 이번 폭우의 처음 시작은 수도권 일대의 폭우(7월 13일 서울 일강수량 91.3mm기록)로 시작하였으나 이후 전선대가 남하, 남부지방과 충청권 일대를 오가면서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상당한 양의 강수량을 기록하였고, 18일에는 남쪽에서 99호 열대요란이 접근하면서 장마전선을 마지막으로 활성화시키면서 다시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극한강수를 유발한 다음 전선대가 통째로 동쪽으로 빠져나가게 되었습니다. 이 기간 동안의 일별 강수량 누적값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지역 7월 13일 7월 14일 7월 15일 7월 16일 7월 17일 7월 18일 13일 이후 장마누적 서울 9.. 2023. 7. 19. 이전 1 2 3 4 5 6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