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37

22호 태풍 날개 정보 및 23호 태풍 바냔 발생 가능성(2022.10.28. 21:00 기준) 1. 22호 태풍 날개 정보 - 마닐라 직격 전망 22호 태풍 날개는 현재 필리핀 막탄 세부 국제공항에서 북북동쪽으로 약 34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3.1°N 125.2°E 인근 지점에서 필리핀 수도 마닐라 방향으로 이동중에 있습니다. 현재 태풍의 중심기압은 994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83km(45노트)의 열대폭풍(TS)의 강도이며, 조만간 필리핀 루손 남동쪽 비콜 해안선에 상륙한 후 그대로 서북서진하여 마닐라 인근을 통과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 예상대로라면 한국시간 기준으로 10월 29일 21시(필리핀 기준 10/29 20:00)를 전후하여 필리핀 마닐라를 거의 직격하다시피 하는 경로로 통과할 거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JTWC에서는 이 시점 태풍의 중심최대풍속이 시속 약 100km(5.. 2022. 10. 29.
22호 태풍 날개 발생정보(2022.10.27. 15:00기준) 한국시간으로 10월 27일 오전 9시 기준으로 북서태평양구역의 태풍 명명권을 가진 일본기상청에서 22호 태풍 날개의 발생을 공식 발표하였습니다. 15:00기준 현재 22호 태풍 날개의 위치는 필리핀 세부 막탄 국제공항에서 동북동쪽으로 약 67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2.2°N 130.0°E 인근 지점이며, JTWC에서는 중심기압 998hPa, 중심최대풍속 시속 약 56km(30노트)로 분석하여 아직 태풍(열대폭풍) 단계에 이르지 못한 열대저기압(TD)로 분류하고 있으나 태풍 명명권을 가진 일본기상청에서는 중심최대풍속 시속 약 65km(35노트)의 열대폭풍으로 분류하면서 공식 태풍 명칭을 부여한 상태입니다.(필리핀 명칭 Paeng) 당초 일부 웹에서는 22호 태풍 날개가 950hPa급의 초강력 태풍으로 .. 2022. 10. 27.
93호 열대요란 발달정보 - 가시권에 들어온 22호 태풍 날개 발생(2022.10.26. 15:00 기준) 한국시간으로 10/26 13:00 기준으로 TCFA통보문이 발령된 93호 열대요란은 15시 현재 팔라우 로만 트메투칠 국제공항 북북서쪽 약 670km해상인 13.4°N 134.0°E 인근 지점에 자리하고 있으며, 중심기압 1003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46km(25노트)의 저기압 상태로 시속 약 26km(14노트)의 속도로 북서~서북서쪽 방향으로 이동중에 있습니다. 또한 오늘(10/26)오전 9시 기준값으로 북서태평양 구역의 지역기상센터(RSMC)를 담당하고 있는 일본 기상청과 한국 기상청에서도 15:00 현재 열대저기압 통보문을 발표하면서 조만간 22호 태풍 날개(2222 Nalgae)의 발생이 현실화 될 전망입니다.(한국 기상청 기준 40호 열대저압부, 필리핀 자체명칭 Paeng) 이전과 비.. 2022. 10. 26.
93호 열대요란 발달정보 - 22호 태풍 날개로 발달할 가능성(2022.10.25. 15:00 기준) 지난 10월 21일 괌 인근 해상에서 발생한 93호 열대요란이 점차 발달하면서 JTWC에는 10월 24일에 낮음(LOW) 단계의 추적 마크를 붙였으며, 24시간이 채 지나기도 전인 10월 25일 새벽 3시(한국시간)에 이 열대요란이 열대저기압(TD)단계 이상으로 발달할 가능성을 중간(MEDIUM) 단계로 상향시켰습니다. 현재 93호 열대요란은 필리핀 막탄 세부 국제공항에서 동북동쪽으로 약 56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1.8°N 128.9°E 인근 지점이며, 현재 중심기압은 1004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37km(20노트)입니다. 당초 이 열대요란은 괌 남쪽 먼 해상에서 발생한 이후 별다른 발달 없이 4일 정도를 흘러 온 상태로 광범위한 몬순 소용돌이(몬순자이어)의 형태에서 점차 열대저기압으로 .. 2022. 10. 25.
25호 열대저기압 정보 - 22호 태풍 날개로는 발달하지 못하고 소멸 전망(222.10.23. 09:00 기준) 25호 열대저기압(TD 25W, 필리핀명 Obet)은 현재 홍콩 국제공항에서 동남동쪽으로 약 46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20.1°N 116.7°E 인근 해상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현재 저기압의 중심기압은 1011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46km(25노트) 수준으로 점차 약화하는 추세에 들어선 상태입니다. 이틀 전 루손해협을 통과하던 당시 22호 태풍 날개의 발생 전망까지 있었던 이 25호 열대저기압은 상대적으로 해양열용량이 낮은 구역인 남중국해 해상에 들어오면서 낮은 연직시어라는 양호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북쪽에서 밀고 내려오는 한랭건조한 공기덩어리로 인한 빠른 에너지 소모, 추가적인 에너지 공급량 감소 등으로 더 이상 발달하지 못하고 어제(10.22) 오후부터 이미 열대폭풍으로 더 발달할 동력을.. 2022. 10. 23.
25호 열대저기압 정보 - 22호 태풍 날개 후보(2022.10.21. 15:00 기준) 미국 JTWC에서 25호 열대저기압의 식별부호(TD 25W, 필리핀 명칭 오벳[Obet])를 붙인 열대저기압은 현재 대만 가오슝 국제공항에서 남동쪽으로 약 36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20.3°N 122.9°E 인근 지점에서 시속 약 26km의 속도로 서진하고 있습니다.(방위각 265º, 14노트) 현재 25호 열대저기압(필리핀명 오벳)의 중심기압은 1006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56km(30노트)의 열대저기압으로, 향후 24시간 이내에 1분 평균 풍속이 열대폭풍 기준(미국, 필리핀)인 시속 65km를 넘을 것으로 보이며, 48시간 이내에는 공식 태풍 명칭이 붙게 되는 10분 평균 풍속 기준으로도 시속 65km를 넘어서면서 공식적으로 22호 태풍 날개의 이름이 붙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아직 일.. 2022. 10. 21.
25호 열대저기압(TD 25W)정보 - 22호 태풍 날개 발생 전망(2022.10.20. 21:00 기준) 필리핀 북동쪽에 자리하고 있던 92호 열대요란이 추가 발달하여 JTWC에서는 10/20 15:00 기준으로 이 열대요란을 25호 열대저기압(TD 25W)으로 자체 식별부호를 붙이고 통보문을 발표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 25호 열대저기압의 위치는 10/20 21:00 현재 일본 오키나와 나하 국제공항에서 남남동쪽으로 약 56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20.7°N 127.4°E 인근 지점이며, 중심기압은 약 1005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46km의 열대저기압(TD) 단계에 해당하는 세력으로 시속 약 15km의 속도로 서쪽 방향으로 이동중에 있습니다.(8노트 방위각 285º) 필리핀 기상청(PAGASA)에서는 이미 어제(10/20) 이 열대저기압에 대해 자체 명칭인 오벳(Obet)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 2022. 10. 20.
20호 태풍 네삿 정보와 22호 태풍 날개 발생 가능성(2022.10.19. 21:00 기준) 1. 20호 태풍 네삿 정보 20호 태풍 네삿(NESAT)은 현재 베트남 다낭 국제공항에서 북동쪽으로 약 18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7.2°N 109.4°E 인근 지점에서 서북서쪽 방향으로 이동중에 있습니다. 현재 태풍의 중심기압은 1002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74km(40노트)의 열대폭풍 세력으로 약화한 상태로 향후 12~24시간 이내에 열대저기압(TD)등급으로 그 강도가 약화하면서 소멸단계에 들어설 전망입니다. 위성 이미지를 보면 이미 태풍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 수준으로 주변 비구름대가 완전히 와해된 상항이며, 북쪽에서 찍어누르는 차고 건조한 대륙기단에 의해 매우 빠른 속도로 힘을 잃어가고 있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태풍이 베트남에 상륙하기 이전에 이미 열대저기압으로 약화할 것으로 보이.. 2022. 10. 19.
20호 태풍 네삿 진로 정보 - 완전히 바뀐 상륙예상 지점(2022.10.18. 21:00 기준) 20호 태풍 네삿은 베트남 다낭 국제공항에서 동북동쪽으로 약 50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7.5°N 112.7°E 인근 해상에서 시속 약 11km의 속력으로 서남서진하고 있습니다(방위각 260º 6노트) 현재 태풍의 중심기압은 979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130km(75노트)로 SSHS 카데고리 1등급에 해당하는 수준의 태풍에 해당하는 강도입니다. 24시간 이전과 대비하면 진행방향은 그대로이나 중국 대륙 북쪽에서 강하게 내려오는 한랭 고기압으로 인해 태풍의 강도와 향후 예상 진로가 당초보다 남쪽으로 밀려날 것으로 예상 경로가 바뀌었습니다. 이렇게 태풍 진행방향 북쪽에서 찬 대륙 고기압이 강하게 찍어누르다 보니 태풍 진행방향 우측(북쪽방향)의 경우 강한 기압경도력과 이동속도, 편동풍(무역풍) 기.. 2022. 10.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