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37

99호 열대요란 발달정보(2022.02.18. 15:00 기준) 지난 2월 14일 팔라우 남쪽 해상에서 발생하였던 99호 열대요란이 북서쪽으로 서서히 이동하며 발달, 현재 99호 열대요란은 필리핀 다바오 국제공항에서 동북동쪽으로 약 36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7.7°N 128.9°E 인근 지점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현재 99호 열대요란의 중심기압은 1004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37km(20노트)수준으로 풍속 자체는 크게 변화가 없지만 중심기압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추세에 들어서 있으며, JTWC에서는 한국시간으로 오늘(2/18) 15시 기준으로 이 열대요란의 열대저기압(TD)발달 가능성을 중간 단계로 상향시켰습니다.(24시간 이내 열대저기압 발생 가능성 40~60%수준) 위성 이미지를 보면 아직까지는 중심부보다는 주변부의 대류현상이 더 강한 형태로 나타나.. 2023. 2. 18.
각종 기상 예측 모델에 대한 간략한 설명 0. 들어가며 이 블로그나 다른 기상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곳을 보면 여러 기상모델들을 사용하는 경우를 보실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전지구 범위를 다루는 동적모델이나 대륙(종관)단위를 다루는 동적모델(수치예보 모델)들이 여기에 해당하는데, 이번 포스트는 거기서 사용되는 여러 모델들 중 지구단위를 다루는 수치예보 모델들에 대한 소개입니다.(수치예보 모델의 개념에 대한 설명이 아닙니다) 당연히 해당 모델의 수치가 어떤 식으로 계산되고, 어떤 방정식을 쓰는지는 일반 단계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설령 모델 자체를 보유했다 하더라도 보통은 보유중인 컴퓨터가 슈퍼컴퓨터급의 성능이 아닌 이상 실질적인 계산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개인이 해당 모델에 수치데이터를 직접 입력하고 결과값을 뽑아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2023. 2. 15.
99호 열대요란 발달정보(2023.02.15. 09:00 기준) JTWC에서는 한국시간 기준으로 2월 14일 15시에 열대요란 부호가 붙은 99호 열대요란에 대해 열대저기압 발생 가능성을 낮음(LOW / 24시간 이내 열대저기압으로 발달 가능성 40% 미만)단계의 마커를 붙이고 분석자료를 내기 시작하였습니다. 동시에 필리핀 기상청(PAGASA)에서도 해당 지점에 대해 저압영역(LPA) 형성에 대한 주의보를 발표하기 시작하며 감시에 들어갔습니다. 일단 지난 2022년 12월에 발생한 25호 태풍 파카르를 마지막으로 북서태평양 구역에는 이렇다할 태풍이 될만한 열대요란 현상 자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던 상태였고, 그나마 있었던 유의미한 열대요란도 지난 1월 10일을 전후해서 나타났던 97호 열대요란 하나가 전부였던 상황이었을 정도로 특별한 상황 자체가 보이지 않던 상황이었.. 2023. 2. 15.
열대저기압 예측 모델 약자의 의미 이 블로그나 태풍 관련 이야기를 할 때 태풍이나 허리케인, 열대 사이클론과 같은 열대 저기압의 예측 모델(이른바 스파게티 모델)에서 사용되는 3~4글자 내외의 영문 문자(식별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HWRF, COTC 같은 약어)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 약어들이 다루는 의미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반 레벨에서 이걸 다 쓰거나 사용할 수는 없지만, 이게 표기된 정보를 구하였다면 그 출처가 어디인지 약어만 가지고도 바로 알 수 있을 것입니다. ※ 유의 : 일부 내용이나 설명의 경우 번역기를 돌린 다음 편집한 것이라 일부 발번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참조 : 위스콘신대학교 허리케인 예측 모델 결과(https://web.uwm.edu/hurricane-models/models/models.html) Hur.. 2023. 2. 4.
2023 설 연휴 북극한파 전망(2023.01.19. 03:00 기준) 개황 지난 2022년 12월 말 북극의 한랭핵 남하로 전국이 영하권으로 내려갔던 한파가 2023년 설을 전후한 시기에 다시 한번 전국을 뒤덮을 전망입니다. 한파 직후 1월 초반 이상고온으로 겨울이 끝난게 아니냐는 소리가 나올 정도였는데 다시 전국을 영하권으로 덮을 북극한파가 예상되면서 2022~2023겨울철은 극과 극의 기온변화를 겪는 겨울이 되겠습니다.(당연히 이 모든것의 근본 원인은 지구온난화가 되겠네요) 조짐 일단 위 일기도는 지난 1월 16일 오전 9시 기준 500hPa영역의 상층 일기도입니다. 이 시기 우리나라는 서울 기준으로 아침에는 영하권, 낮에는 영상으로 잠깐 올라서는 그냥 평범한(?) 겨울 날씨 패턴을 보이고 있었습니다. 당시 상층 상황을 보면 오호츠크해 인근에 절리저기압이 자리하고 있고.. 2023. 1. 19.
97호 열대요란 발달정보(2023.01.10. 15:00 기준)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에서는 지난 1월 8일 21:00에 식별부호가 붙은 97호 열대요란이 발달하여 1월 10일 오전 9시 기준으로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할 가능성이 낮음(LOW)단계에 붙은 것으로 발표하고 관련 통보문을 내기 시작하였습니다. 또한 인접한 필리핀 기상청(PAGASA)에서도 이 열대요란을 저압영역(Low Pressure Area-LPA)로 식별하고 이 저기압의 영향으로 아구산델수르, 민다나오 북부, 다바오, 비콜, 비사야스 지역에 폭우가 내릴 가능성에 대해서 주의보를 발령하였습니다. 현재 이 97호 열대요란의 위치는 필리핀 히나투안(HINATUAN)에서는 동쪽으로 약 425km가량(필리핀 기상청 기준), 팔라우 로만트메투칠 국제공항에서는 서남서쪽으로 약 25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6.. 2023. 1. 10.
일출, 일몰 조망 가능지점 확인하기 들어가며 매 연말연시마다 일출, 일몰을 조망하는 사람들이 곳곳에 몰리는데 막상 가 보면 지형지물 등에 의해 해가 가려지는 등의 대참사(?)가 발생하고는 합니다. 일몰쪽과 관련한 서해안의 경우 워낙에 돌출부위와 섬이 많다보니 어느 정도는 예상을 하고 가는 경우가 많은데 문제는 별다른 지형지물이 없는 동해안쪽도 일부 지역의 경우 제대로 된 일출을 보기 어려운 곳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보통 일단 "동해바다는 동쪽으로 탁 트여있으니 날씨만 문제없으면 바다에서 뜨는 해를 볼 수 있을 것이다."라고 생각하면서 유명 일출지점이라고 갔는데 막상 해가 저쪽 구석 해안 절벽쪽에서 뜨거나 항구 방파제 등에 가려지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고는 합니다.(제가 지난 1월 1일에 이걸 당해서 이러는게 아닙..... 2022. 12. 28.
북극 한파와 제주공항 무더기 결항 - 2022년 12월 한파 사례 지난 12월 21일 무렵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한파의 영향으로 제주국제공항을 오가는 항공기들이 무더기로 결항하는 일이 있었습니다.(배편도 동반결항) 이 원인으로 북극에서 우리나라 방향으로 직접 내려온 한랭핵(북극기단)의 영향이 지목되는데, 한파와 제주도를 잇는 항공기 및 선박들의 결항사태가 무슨 상관일까 싶을 수도 있겠습니다. 사실 이 일이 있기 이전인 12월 19일 상황을 보면 약간의 예측이 가능했던 상황인데, 이 당시 500hPa영역의 상층 일기도를 보면 12월 9일에서 10일 사이에 한파를 몰고 왔었던 한랭핵이 사할린 방면으로 빠져나가고(보라색 원), 이후 북서쪽에서 온도능이과 기압능이 우리나라 방향으로 들어오면서 12월 20일 화요일 무렵에는 일시적으로 추위가 풀리기도 했었습니다. 문제는 온도능의.. 2022. 12. 23.
25호 태풍 파카르 발생정보(2022.12.11. 21:00 기준정보) 2022.12.11. 21:00 기준으로 열대저기압(TD)단계였던 29호 열대저기압(TD 29W, 한국기준 46호 열대저압부)이 공식 태풍으로 발달, 25호 태풍 파카르(2225 TS Pakhar)가 공식 발생하였습니다. 현재 25호 태풍 파카르의 위치는 필리핀 마닐라 국제공항에서 북동쪽으로 약 76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8.2°N 127.0°E 인근 지점이며, 중심기압 997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74km(40노트, 1분 평균) 수준의 열대폭풍(TS)단계입니다. 이는 11일 새벽 중심 최대풍속이 25노트인 열대저기압 수준이던 상황에 비하면 상당히 빠른 발달 속도라 할 수 있는데, 좁은 구역이긴 하지만 높은 고수온과 낮은 연직시어 상황이 유지되면서 소형 태풍의 컴팩트한 구조를 만드는데 성공하.. 2022. 1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