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37

15호 태풍 탈라스, 16호 태풍 노루 진로 정보(2022.09.23. 21:00 기준) 1. 15호 태풍 탈라스 - 발생하자마자 소멸단계 진입 오늘(9/23) 오전 9시 공식 발생이 발표된 15호 태풍 탈라스는 현재 일본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에서 남남동쪽으로 약 17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33.0°N 136.0°E 인근 지점에서 도쿄 방향으로 북동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JTWC에서 분석한 15호 태풍 탈라스의 중심기압은 약 998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56km(30노트)로 태풍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열대저기압(TD)로 판정하고 있으나, 일본 기상청에서는 중심기압 1002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65km(35노트)의 열대폭풍(TS)등급으로 판정하고 있어 두 기관의 해석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통상 중심최대풍속을 발표할 때 1분 평균값을 사용하는 미국 JTWC의 값이 .. 2022. 9. 23.
16호 태풍 노루 공식 발생정보(2022.09.23. 15:00 기준) 한국시간으로 9월 23일 오전 9시에 15호 태풍 탈라스가 공식 발생한지 6시간만인 오후 3시에 다시 지역기상센터(일본기상청)에서는 95호 열대요란에서 기원한 열대저기압(한국기상청 기준 28호 열대저압부)이 16호 태풍 노루로 발달하였음을 공식 발표하였습니다. 현재 16호 태풍 노루의 위치는 필리핀 마닐라 국제공항에서 동북동쪽으로 약 121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8.0°N 131.8°E 인근 지점에서 필리핀 루손 북부를 향해 곧바로 서진중에 있으며, 현재 중심기압은 998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74km(40노트)의 열대폭풍(TS) 등급에 해당합니다. 참고로 제가 말씀드리는 중심최대풍속은 미국 JTWC 기준치인 1분 평균 풍속값으로 국제 표준인 10분 풍속값인 35노트(시속 약 65km)보다는.. 2022. 9. 23.
15호 태풍 탈라스 공식 발생(2022.09.23. 09:00기준) 북서태평양 구역의 태풍 명명권을 가지고 있는 일본 기상청에서 2022.09.23. 09:00 기준으로 15호 태풍 탈라스가 공식 발생하였음을 발표하였습니다. 현재 태풍의 위치는 일본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에서 남남서쪽으로 약 40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30.8°N 134.8°E 인근 지점으로 중심기압 약 998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65km(35노트)의 소형 열대폭풍(TS) 등급에 해당합니다. 당초 이 15호 태풍 탈라스는 역방향 몬순골 북동쪽 끝자락에서 튀어나온 순환장에서 발생한 것으로 이런 몬순골 북동쪽 끄트머리 발생 열대저기압들의 경우 태풍으로 발달하더라도 그 구조가 원형의 대칭구조를 이루기 보다는 우측 반원에 적란운대가 쏠려있는 비대칭적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 15호 태풍 탈.. 2022. 9. 23.
당근형 구름 - 짧고 굵은 소나기(2022.09.23. 사례) 당근형 구름이란 풍상(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쪽 구름 가장자리가 뚜렷하고, 풍하(바람이 불어나가는 방향)으로의 구름 가장자리는 넓어지는 형태의 적란운대로 그 형태가 당근과 비슷하다고 하여서 붙은 이름입니다. 하늘에서 당근이 내린다거나 당근마켓 판매자에게 비가 내리는게 절대 아닙니다. 당근이세요? 주로 짧은 시간 내의 집중호우(소나기성 강수)를 유발하는 특성이 있으며, 찬 공기가 매우 빠른 속도로 더운 공기를 밀어내면서 국지적인 대기불안정을 야기하는 한랭전선형 강수의 특성을 보이며 한두시간 이내의 짧고 굵은 소나기를 뿌린 뒤 사라지는 특성이 있습니다(애초에 전체 유지시간이 10시간 내외로 짧은 편) 위 이미지는 2022년 9월 23일 11시 기준 한국기상청의 종합영상인데, 수도권 일대를 중심으로 전형적인 당.. 2022. 9. 23.
15호 태풍 탈라스, 16호 태풍 노루 발생 임박(2022.09.22. 15:00 기준) 1. 94호 열대요란 발달, 15호 태풍 탈라스 혹은 16호 태풍 노루 발생 임박 어제 TCFA통보문이 발표되면서 15호 태풍 탈라스의 발생 가능성을 높였던 94호 열대요란은 현재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에서 남남서쪽으로 약 101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26.9°N 136.5°E 인근 지점에서 북상중에 있습니다. 현재 이 저기압의 상태는 중심기압 약 1000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56km(30노트)가량의 열대저기압으로 미국 식별부호로는 TD 17W, 한국 기상청에서는 27호 열대저압부로 자체 표기하여 예보를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며칠 전 포스트에서 인근의 95호 열대요란과 함께 이 열대저기압이 몬순골 형태를 이루고 있다고 언급한 적이 있는데, 몬순골 북동쪽 끝자락에서 발생하는 열대저기압의 경우 초.. 2022. 9. 22.
94호 열대요란 발달정보 - 15호 태풍 탈라스 발생 가능성(2022.09.21. 21:00 기준) 1. 94호 열대요란 - 15호 태풍 탈라스로 발달할 가능성 높아져 94호 열대요란은 어제(9/20) JTWC의 추적마크가 붙은지 불과 하루만에 JTWC에서 다시 TCFA통보문이 발효되면서 향후 24시간 이내에 열대저기압(TD)단계로 발달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현재 94호 열대요란의 위치는 괌 국제공항에서 북북서쪽으로 약 108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24.7°N 140.0°E 인근 지점으로 중심기압은 약 1004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37km(20노트) 정도의 열대요란 수준입니다. 한국 기상청에서는 아직 열대저압부 통보문 발표는 하지 않았지만, 현재 지상일기도상에 열대저기압(TD)로 표시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태풍 감시 관련 자료에서도 TD표시를 붙이기 시작하고 있으므로 조만간 관련 통보문.. 2022. 9. 21.
94호 열대요란 발생정보 - 15호 태풍 탈라스 및 향후 태풍 발생 가능성(2022.09.20. 15:00 기준) 14호 태풍 난마돌이 소멸하기 직전인 9월 20일 새벽 3시 무렵 일본 남쪽 먼 해상에서 94호 열대요란이 식별되었고, 6시간 이후인 오전 9시 기준으로 미국 합동태풍경보센서(JTWC)에서는 이 94호 열대요란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낮음(LOW) 단계로 표시하고 관련 통보문을 발표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현재 94호 열대요란의 위치는 괌 국제공항에서 북서쪽으로 약 90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8.9°N 138.6°E 인근 지점으로 중심기압은 1006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28km(15노트) 가량의 열대요란입니다. 현재 이 94호 열대요란이 위치한 구역을 기준으로 남서쪽에서 몬순기류의 유입에 의한 몬순골(Monsoon Through)이 다시 형성되면서 북위 20~30도 사이 구역의 북서태평양 .. 2022. 9. 20.
14호 태풍 난마돌 정보 - 일본열도 따라 이동중(2022.09.15. 21:00 기준) 오늘(9/15) 오전에서 정오 무렵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영남과 영동지방에도 강풍을 동반한 비를 내리게 하였던 14호 태풍 난마돌은 현재 대한민국 독도 항로표지관리소(독도등대)에서 동남동쪽으로 약 250km,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에서는 북북서쪽으로 약 200km가량 떨어진 동해상인 36.1°N 134.3°E 인근 지점에서 일본열도 서쪽 해안선(우리나라 동해)을 따라 동북동진하고 있습니다. 어제 일본 규슈 가고시마 상륙 당시 2등급 태풍(TY) 수준이었던 난마돌의 세력은 하루 사이 육지와의 마찰 등으로 다소 약화하면서 현재는 중심기압 971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92~93km(50노트)의 강한 열대폭풍(STS)단계로 내려온 상태입니다. 현재 태풍의 이동속도대로라면 내일(9/20) 새벽 무렵 일본 .. 2022. 9. 19.
14호 태풍 난마돌 정보 - 예상보다 약간 빠른 진행속도(2022.09.18. 21:00 기준) 1. 14호 태풍 난마돌 일본 상륙 - 18:00무렵 규슈 최남단 가고시마현 오스미 반도 부근 상륙 14호 태풍 난마돌은 한국시간 기준으로 9월 18일 오후 6시 직전에 일본 규슈 남쪽 가고시마 해안선(사쓰마 반도)에 상륙하였으며, 상륙 직전 데이터인 15시 기준 태풍의 세력은 중심기압 947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176km(95노트)의 2등급 태풍(TY)강도였습니다. 이 경로는 어제 미국 JTWC에서 예상한 경로보다는 동쪽으로 약 25km, 한국 기상청의 예상 경로보다는 약 75km가량 동쪽으로 치우쳐진 경로이고, 당초 예상보다는 약 3시간 정도 빠른 시점에 일본 규슈에 상륙한 것으로 보입니다. 즉, 태풍의 이동속도에 점차 가속이 붙고 있다는 의미인데, 이 경우 태풍 우측의 위험반원 구역의 강.. 2022. 9.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