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57 20호 태풍 짜미 진로 정보와 21호 태풍 콩레이 발생 가능성(2024.10.23. 21:00 기준) 1. 20호 태풍 짜미 진로정보20호 태풍 짜미(필리핀 명칭 Kristine)는 한국시간 기준으로 10월 23일 21시 기준으로 필리핀 마닐라 국제공항에서 북동쪽으로 약 330km 앙헬레스 클락 국제공항에서는 동북동쪽으로 약 31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6.9°N 122.9°E 인근에서 필리핀 루손 상륙을 목전에 두고 있습니다.(아직 공식 정보가 올라온 것은 아니지만 이 글 작성 시점 기준으로는 필리핀 루손 북동부 이사벨라 주 해안선에 상륙했을 것으로 보입니다)21시 기준 태풍의 중심기압은 991hPa, 1분 평균 최대풍속은 시속 약 83km(45노트)의 열대폭풍 강도를 유지하고 있으며(국제기준 STS급), 필리핀 루손 상륙 후 남중국해에 진출할 때 까지 육지와의 마찰로 그 세력과 형태가 살짝 꺾일 것.. 2024. 10. 24. 20호 태풍 짜미 진로정보 - 필리핀 루손 북부 관통 후 베트남 방향으로 이동 예상(2024.10.22. 15:00 기준) 1. 20호 태풍 짜미 경로 정보 - 필리핀 루손 북부 관통 후 베트남 다낭 방향으로 이동 예상한국 시간 기준으로 2024년 10월 22일 03시에 공식 태풍으로 발달한 20호 태풍 짜미는 태풍 발생 후 12시간이 지난 10월 22일 15시 현재 필리핀 마닐라 국제공항에서 동남동쪽으로 약 60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4.0°N 126.6°E 인근 지점에서 필리핀 루손 북동부 해안선 방향으로 북서진하고 있습니다.현재 태풍의 중심기압은 990hPa, 1분 평균 최대풍속은 시속 약 65km(35노트)의 열대폭풍(TS)급 강도이며,현재 위성 이미지를 살펴보면 제대로 된 대칭형 구조를 이루지 못하고 진행방향의 왼쪽 반원에 적란운대가 집중되어 있는 모습입니다.(이 비구름이 걸친 루손 일대에 매우 강한 폭우가 내리.. 2024. 10. 22. 96호 열대요란 TCFA발령 - 20호 태풍 짜미 발생 가능성(2024.10.20. 09:00 기준) 한국 시간으로 10월 19일 오전 9시에 96호 열대요란으로 식별부호를 받은 괌 서쪽의 저기압 구역이 점차 발달하여 JTWC에서는 10월 20일 0시 기준으로 이 96호 열대요란에 대해 TCFA(열대 저기압 형성 경보)를 발령하였습니다.96호 열대요란은 10월 20일 오전 9시 현재 괌 국제공항에서 서북서쪽으로 약 790km, 팔라우 국제공항에서는 북북동쪽으로 약 80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4.0°N 137.5°E 인근 지점에서 서쪽 방향으로 이동중에 있으며, JTWC에서는 이 열대요란의 강도를 중심기압 1004hPa, 1분 평균 최대풍속은 시속 약 38km(20노트)로 추정하고 있습니다.일단 적외선 이미지를 살펴보면 지금의 상태는 중심부가 비어있고, 주변부의 구름대가 더 많은 완전한 열대저기압보.. 2024. 10. 20. 19호 태풍 바리자트 정보(2024.10.10. 15:00 기준) 지난번 글에서 사이판 북쪽에서 태풍으로 발달할 것으로 예상하였던 99호 열대요란의 발달이 예상보다 지연되면서 당시 시점 기준으로 3일 정도 지난 뒤인 한국시간 기준으로 10월 9일 15시에 19호 태풍 바리자트가 북서태평양 해상에서 공식 발생하였었습니다.10월 10일 15시 현재 기준으로 19호 태풍 바리자트의 위치는 일본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에서 동남동쪽으로 약 1,02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34.8°N 150.9°E 인근 지점이며, 중심기압 993hPa, 1분 평균 최대풍속은 시속 약 65km(35노트) 수준의 열대폭풍 강도입니다.개인적으로는 발생 이전부터 이 태풍은 딱히 영향을 줄만한 육지도 없고, 빠른 속도로 온대저기압화할 것으로 예상되어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았는데요, 실제 JTWC 기준으로 T.. 2024. 10. 10. 99호 열대요란 발달정보 - 사이판 북쪽에서 19호 태풍 바리자트 발생 가능성?(2024.10.06. 09:00 기준) 한국시간 기준으로 10월 6일 새벽 4시 30분에 TCFA가 발령된 99호 열대요란은 10월 6일 9시 현재 사이판 국제공항에서 북쪽으로 약 18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6.7°N 145.7°E 인근 지점에 자리하고 있습니다.(한국기상청 41호 열대저압부)현재 99호 열대요란의 중심기압은 약 1004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38km(20노트) 수준이며, 주변의 높은 해수면 온도(29~30℃)와 중간 정도의 연직시어(15~20노트), 상층 발산역의 강도 약화 등 발달에 유리한 요소와 그렇지 않은 요소가 서로 겹쳐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따라서 현재 이 99호 열대요란이 열대저기압(TD) 수준까지 발달할 것은 분명해 보이나 태풍 기준 풍속을 넘어설 수 있을지는 아직 단언하기 좀 어려운 상태로 .. 2024. 10. 6. 99호 열대요란 발달정보 - 19호 태풍 바리자트 발생 가능성(2024.10.05. 15:00 기준) 지난 10월 3일 21시에 99호 열대요란으로 식별번호가 붙은 99호 열대요란에 대해 미국 JTWC에서 24시간 이내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중간 단계로 상향시키면서 19호 태풍 바리자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10월 15일 15시 현재 99호 열대요란의 위치는 괌 국제공항에서 동쪽으로 약 170km, 사이판 국제공항에서는 남남동쪽으로 약 210km 가량 떨어진 해상인 13.3°N 146.4°E 인근 지점이며, 열대요란의 중심기압은 1005hPa, 1분 평균 최대풍속은 시속 약 38km(20노트) 수준입니다.저기압의 중심부가 시간에 따라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현재 글을 쓰고 있는 시점인 8시 54분 현재 북마리아나제도의 사이판과 티니언 섬 육상에는 강풍 주의보(Wind Advisory), 이들 2.. 2024. 10. 5. 18호 태풍 끄라톤 정보 - 대만 남부 상륙 후 열대저기압으로 약화(2024.10.03. 21:00 기준) 한국 시간 기준으로 10월 3일 정오 무렵 대만 남부 가오슝 해안으로 상륙한 18호 태풍 끄라톤은 10월 3일 21시 현재 대만 가오슝 국제공항 동북동쪽 약 40km 거리 육상인 22.7°N 120.7°E 인근 지점에서 북~북북서 방향으로 이동중에 있습니다.21시 기준 태풍의 중심기압은 999hPa, 1분 평균 최대풍속은 시속 약 83km(45노트)의 열대폭풍 등급으로 약화하였으며, 이후 타이난 동쪽 지역을 통과하면서 태풍 기준치 아래(17m/s 미만)로 약화하면서 열대저기압 단계로 내려앉겠습니다.당초 발생 초기 한반도 인근 해역 북상까지 예상되었던 것과 비교하면 대만 부근에서 꽤 오래 머무르다가 소멸해버리는 결과가 되었는데요, 이는 지난 글에서 지속적으로 언급했던 중국 내륙의 고기압이 태풍의 북상을 가.. 2024. 10. 3. 18호 태풍 끄라톤 진로정보 - 대만 내륙에서 약화하며 사실상 소멸할 듯(2024.10.02. 21:00 기준) 18호 태풍 끄라톤은 10월 2일 21시 현재 타이완 가오슝 국제공항에서 서남서쪽으로 약 100km, 타이완 타이베이 타오위안 국제공항에서는 남서쪽으로 약 38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22.0°N 119.5°E 인근 지점에 자리하고 있습니다.10월 2일 21시 기준 태풍의 중심기압은 957hPa, 1분 평균 최대풍속은 시속 약 185km(100노트)의 SSHS 3등급 태풍으로 36시간 이전 4등급의 슈퍼태풍 단계에 올라섰던 것에 비하면 세력이 많이 약화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지난 포스팅에서 대만 상륙 이전 동경 120도선 서쪽으로 태풍이 이동하는지 여부가 어느 정도 중요하다고 이야기하였었는데, 어제 기준으로 이 선을 넘어가면서 대만으로 상륙하기 전에 힘이 많이 빠지는 모양새가 되었습니다.태풍의 강도가.. 2024. 10. 3. 18호 태풍 끄라톤 - 슈퍼태풍으로 발달(2024.10.01. 09:00 기준) 2024년 10월 1일 09시 현재 18호 태풍 끄라톤은 타이완 가오슝 국제공항에서 남남서쪽으로 약 23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20.6°N 119.6°E 지점에서 시속 약 7km(4노트)의 꽤 느린 속력으로 서북서진하고 있습니다.12시간 전 기준으로 올린 지난 글에서는 4등급 초입 수준이 이 태풍의 최성기일것으로 생각했으나 이후 12시간동안 추가발달을 지속하여, 10월 1일 09시 기준 18호 태풍 끄라톤의 중심기압은 927hPa, 1분 평균 최대풍속은 시속 약 240km(130노트)에 이르는 4등급 슈퍼태풍 세력으로 올라서면서 2024년의 2번째 슈퍼태풍으로 발달하였습니다. 지금까지의 상황을 보면 9월 28일 공식 태풍으로 올라선 이후 불과 3일(72시간)만에 열대폭풍에서 4등급 슈퍼태풍으로 발달한 .. 2024. 10. 1. 이전 1 ··· 3 4 5 6 7 8 9 ··· 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