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37 남인도양 사이클론 두마코(TC-12S Dumako) 진로정보 - 2022.02.14. 15:00 기준 한국시간으로 12월 12일 열대폭풍 등급 이상으로 발달한 열대요란에 2022년 2월 13일 두마코(Dumako)라는 이름이 붙으면서 2021~2022 남인도양 사이클론 시즌 중 발생한 12번째 사이클론이, 2022년 발생한 남서인도양 구역 사이클론 중에서는 4번째 사이클론이 되었습니다. 현재 사이클론 두마코의 중심은 프랑스령 레위니옹의 롱랑 가르드 국제공항에서 북쪽으로 약 49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6.5°S 55.2°E 지점에 있으며, 현재 서남서 방향(225 Degrees)으로 시속 약 30km(16노트)의 비교적 빠른 속도로 마다가스카르 북동쪽 해안선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현재 사이클론 두마코의 중심기압은 996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92~93km(50노트) 수준의 열대폭풍(TS.. 2022. 2. 14. 해양과 바다의 경계 - 5. 인도양(Indian Ocean) 이 포스트는 해양과 바다의 경계(S-23 4판)에 실려있는 인도양의 범위(경계선)를 번역 및 일부 내용 추가를 한 것입니다. 인도양의 경우 북쪽이 아프리카와 아시아 대륙으로 막혀있어서 그 구분 구획이 쉬울 것으로 보이지만 북동지역 경계선구역에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섬이 모여있는 곳 중 하나인 말레이 제도의 남쪽 경계로 포함하여 지나는 서술이 포함되어 상당히 복잡한 서술이 불가피합니다.(번역도 번역이지만 확인해야 하는 명칭이 무지막지하게 많아집니다. ㅠㅠ) 1. 북쪽 경계 : 남아프리카공화국 최담단 아굴라스 곶(Cape Agulhas) 34º50'S 20º00'E 지점에서 시작하여 아프리카 대륙의 동쪽 해안선과 아시아대륙의 남서쪽 해안선을 모두 포함하며, 이 경계선은 태국 푸켓 섬의 남쪽 프롬 텝 곶(Le.. 2022. 2. 14. 해양과 바다의 경계 - 4. 남대서양(South Atlantic Ocean) 이 포스트는 해양과 바다의 경계(S-23 4판)에 실려있는 남대서양의 범위(경계선)를 번역 및 일부 내용 추가를 한 것입니다. 본래 대서양은 육지의 형상 등으로 남북을 나눌 수 없는 하나의 바다에 해당하지만 적도를 기준으로 남쪽과 북쪽의 기상과 관련한 각종 현상이나 천문쪽 개념 등이 달라지므로 편의상 국제수로기구에서는 적도 부근을 기준으로 남쪽과 북쪽 구역을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1. 북쪽 경계 : 브라질 북동해안선 중 적도와 맞닿아있는 지점인 0º00' 49º20W지점(아마존 삼각주 부근)부터 거의 적도를 따라 상투메 프란시페 본섬과 롤라스 섬 사이 해상에 자리한 0°01'N 6°32'E 지점을 연결합니다. 이후 이 지점에서 가봉의 로페즈 곶(Cape Lopez)의 0º37'S 8º43'E 지점.. 2022. 2. 12. 해양과 바다의 경계 - 3. 지중해 지역 지중해 지역은 스페인의 트라팔가르 곶(Cabo de Trafalgar)-트라팔가르 등대 부근-의 36º11'N 6º02'W에서 모로코의 라스 에스파텔(Ras Espartel)의 35º48'N 5º55'W 지점까지를 연결하는 선 동쪽에 있는 바다와 그 부속 해역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이 지역은 경계선 서쪽 북대서양으로 연결되는 곳을 제외하면 완전히 육지로 둘러싸인 내해에 해당하며, 남부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의 해안선으로 가로막혀있는 바다입니다. 지중해 지역은 해당 지역에서 지중해와 마르마라 해, 흑해, 아조프 해를 포함하는 구역으로 해역 전체가 지브롤터 해협이라는 좁은 구역을 통해 대양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거의 완전한 내해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지중해 지역의 바다에는 조수간만.. 2022. 2. 12. 해양과 바다의 경계 - 2. 발트해(Baltic Sea) 발트해는 덴마크 최북단 스카겐의 북쪽 끝인 57°45’N 10°36’E(스카겐 서 등대-Skagen West Lighthouse 부근)에서 57°45’N선을 따라 동쪽으로 연결하여 스웨덴 예테보리 북서쪽 해안의 57°45’N 11°45’E 지점까지를 연결하는 선을 경계로 하여 덴마크, 독일, 폴란드, 러시아,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스웨덴, 핀란드 해안선 안쪽에 있는 내해에 가까운 형태의 해역을 의미합니다. 이들 나라의 해안선이 둘러싸고 있는 이 발트해 해역은 자연지리적으로는 대서양의 부속 바다에 해당하지만 스카게라크 해협이라는 꽤 좁은 구역을 통해 북대서양으로만 연결되고 나머지 지역은 육지로 막혀있어 발트해 전체가 일종의 내해와 다름없는 특성이 발생하며, 이런 현상 중 가장 대표적인 특성 .. 2022. 2. 11. 남태평양 사이클론 도비 (TC 11P/TC 08F Dovi) 정보 - 2022.02.11. 15:00 기준 어제 누벨칼레도니아의 누메아를 통과하였던 사이클론 도비(TC 11P Dovi / TC 08F Dovi)는 현재 오스트레일리아의 국외 자치령인 노퍽섬 공항에서 북서쪽으로 약 300km해상인 6.8°S 166.2°E인근 지점에서 시속 약 22km(12노트)의 속도로 남남서진 하고 있습니다. 현재 사이클론 도비(TC Dovi)의 중심기압은 963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139km(75노트)로 SSHS등급 기준으로는 2등급 사이클론에 해당하는 강도이며 오스트레일리아 기상청 기준으로는 3등급 사이클론에 해당하는 수준입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오늘 낮 까지만 하여도 중심기압 940hPa대에 중심최대풍속이 시속 약 176km(95노트)에 달하는 세력이었으나 사이클론의 남진에 따라 상층의 현재 오스트레일리아 .. 2022. 2. 11. 해양과 바다의 경계 - 1. 북대서양(North Atlantic Ocean) 이 포스트는 해양과 바다의 경계(S-23 4판)에 실려있는 북대서양의 범위(경계선)를 번역 및 일부 내용 추가를 한 것입니다. 본래 대서양은 육지의 형상 등으로 남북을 나눌 수 없는 하나의 바다에 해당하지만 적도를 기준으로 남쪽과 북쪽의 기상과 관련한 각종 현상이나 천문쪽 개념 등이 달라지므로 편의상 국제수로기구에서는 적도 부근을 기준으로 남쪽과 북쪽 구역을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1. 북쪽 경계 : 캐나다 북동쪽 래브라도반도의 60°00'N 64°10'W지점에서 60°00'N선을 따라 동쪽으로 이동하여 그린란드의 남서쪽 해안의 60°00'N 44°50'W 지점을 연결합니다. 이후 그린란드 남쪽 해안선과 동쪽 해안선을 따라 남동쪽 해안에 있는 Kap Edward Holm 부근의 67°51'N 32°.. 2022. 2. 11. 해양과 바다의 경계(Limits of Oceans and Seas) 목차 - 세계 바다 이름 이 내용은 국제수로기구(IHO)에서 발간한 해양과 바다의 경계(Limits of Oceans and Seas) S-23 4th edition(2002년판)의 목차를 번역한 것입니다.(발번역 및 의역 주의) 해양과 바다의 경계는 전세계의 바다를 10개 구역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다시 이 10개의 바다에 포함된 해역을 계층관계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5대양 6대주와 같은 방식이 더 익숙한 우리나라 사람들한테는 조금 직관적으로 와 닿지 않을 수도 있는데요, 이 출판본에서의 바다 구분은 바다의 절대적인 규모보다는 어느 정도 자연지리상 완전히 구분하기 쉬운 바다를 구역으로 두고, 대서양이나 태평양과 같이 너무 큰 규모의 해양은 적도를 기준으로 남북을 나누는 등의 방식으로 지역 구분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2022. 2. 10. 해양과 바다의 경계(Limits of Oceans and Seas) 이야기 1. 들어가며 해양과 바다의 경계는 국제수로기구(IHO)에서 발간하는 간행물로 바다의 명칭과 구역을 정하여 선박의 항해안전과 수로확정, 해양학적인 활용 등을 목적으로 1929년 처음 발간한 책자이자 표준 해도입니다. 2. 동해 표기 문제 1929년 1판이 만들어질 당시 우리나라는 일제 강점기로 국제수로회의에 참석하여 우리의 의사를 표시할 수 없는 상태였으며, 이 당시 우리나라를 식민지배하던 일본의 의견만이 반영되어 1929년 모나코 회의에서 동해의 명칭을 국제적으로 일본해(Sea of Japan / Japan Sea)로 의결하였습니다. 이후 이 일본해 표기는 1953년 간행된 3판에까지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이에 대한 의견을 구하던 1952년은 6.25 동란중인 상황으로 IHO에 미가입한 상태였습니다.(.. 2022. 2. 10. 이전 1 ··· 52 53 54 55 56 57 58 ··· 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