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호 열대요란 발달정보 - 12호 태풍 기러기 후보(2023.08.29. 15:00 기준) JTWC에서는 8.29. 12:00을 기준으로 북서태평양 미크로네시아 연방 해역에 있는 94호 열대요란에 대한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 낮음(LOW) 단계를 지정하고 관련 통보문을 발표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괌 국제공항에서 동남동쪽으로 약 124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1.5°N 156.0°E 인근 지점에 자리하고 있는 94호 열대요란은 현재 중심기압 1006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30km(15노트)의 저기압성 순환장으로 발생 자체는 지난 8월 28일 오전 3시 무렵 열대요란 식별부호가 붙었으며, 이미 다수 예보 모델에서 120시간 이내 범위에서 열대저기압 수준 이상으로 발달하는 예측이 나오고 있어서 현재 단계가 낮음 수준일 뿐 열대저기압 단계를 넘어 12호 태풍 기러기로 발달할 가능성이 충분히 .. 2023. 8. 29. 93호 열대요란 발달정보 - 11호 태풍 하이쿠이 발생 임박(2023.08.27. 15:00 기준) 한국 시간으로 8월 27일 15시 기준으로 일본 기상청에서는 괌 인근의 열대저기압(미국 식별부호 93호 열대요란-93W, 한국 기상청 19호 열대저압부)이 발달하여 11호 태풍 하이쿠이(HAIKUI)로 발달할 가능성이 있는 예보를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다만 아직 미국 JTWC에서는 이 93호 열대요란에 대해서 TCFA를 발령하지는 않고 있으며, 24시간 이내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40~60%로 보면서 조금 느린 발달을 시사하고 있으나 해봐야 하루 이내 차이일 뿐 이 열대저기압이 11호 태풍 하이쿠이로 발달할 가능성은 거의 기정사실화 되고 있다고 보셔도 무방할 듯 싶습니다. 현재 93호 열대요란의 위치는 괌 국제공항에서 북북서쪽으로 약 450km, 사이판 국제공항에서는 북서쪽으로 약 320km가량 떨어.. 2023. 8. 27. 93호 열대요란 발달정보 - 잠재적 11호 태풍 하이쿠이 후보(2023.08.26. 15:00 기준) 지난 8월 25일 오전 9시 무렵 공식 열대요란 식별부호가 붙은 괌 인근의 저기압성 순환(몬순자이어)인 93호 열대요란이 점차 발달하면서 JTWC에서는 26일 오전 이 열대요란의 24시간 이내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낮음(LOW)등급으로 표시하면서 공식적인 통보문을 내기 시작하였습니다. 현재 괌 국제공항에서 북북서쪽으로 약 300km, 사이판 국제공항에서는 서북서쪽으로 약 23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5.9°N 143.7°E 인근 지점에 자리하고 있는 93호 열대요란은 중심기압 1003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35km(20노트)의 저기압성 순환에 해당합니다. 일단 지금 상황을 살펴보면 광범위한 저기압성 순환과 중심부에서 약간 벗어난 폭발적인 대류현상이 혼재되는 상황으로, 서풍 계열의 몬순기류가.. 2023. 8. 26. 9호 태풍 사올라 발생 임박 및 10호 태풍 담레이 발생 가능성(2023.08.23. 15:00 기준) 0. 개황 현재 우리나라 주변 상황을 살펴보면 만주에서 중국 상하이까지 연결되는 구역(일기도 보라색 원)에 하층 이동성 저기압과 상층 기압골이 맞물려 들어오면서 가을장마에 해당하는 강수를 유발하고 있습니다. 이 기압골 형성의 원인으로는 북서쪽의 찬 대륙성 고기압과 일본 동쪽의 덥고 습한 북태평양 고기압 사이 제트기류가 자리하면서 우리나라 부근에서 성질이 서로 맞부딛히는 형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기류 상황을 보면 하층의 남서기류와 상층 제트기류(빨간색 선)의 구역의 모습이 점차 맞물려 들어가는 제트기류 커플링 현상과 유사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는 점이며 이 기압골이 빠져나가야 하는 방향에 하필이면 북태평양 고기압 본진이 블로킹 고기압의 역할을 하면서 형태상 기압골에 의한 전선형 강수지만 기압골이 우리나라에.. 2023. 8. 23. 90호 열대요란 발달정보 - 잠재적인 9호 태풍 사올라 후보(2023.08.22. 21:00 기준) JTWC에서는 현재 괌 국제공항에서 북동쪽으로 약 880km, 사이판 국제공항에서는 동북동쪽으로 약 690km가량 떨어진 18.0°N 151.5°E 인근 지점에 있는 90호 열대요란에 대해서 24시간 이내 열대저기압(TD) 수준 이상으로 발달할 가능성을 낮음(Low)에서 중간(Medium)단계로 향상시켰습니다. 한국 기상청에서는 17호 열대저압부로 구분하고 있는 이 열대요란은 현재 중심기압 1009hPa, 중심최대풍속 시속 약 38km(20노트) 정도의 강도이며(최대 23노트), 현재 자리한 곳의 높은 해수면 온도(29~30℃)와 해양열용량, 낮은 연직시어(5~10노트)로 발달에 유리한 요건을 갖추고 있으며, 서서히 서남서쪽 방향으로 이동할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전반적인 하층 기압계 상황을 보면 대만-.. 2023. 8. 22. 99호 열대요란의 한반도 영향과 시사점(2023.08.19. 사례) 한국시간으로 8월 18일 오후 3시 무렵 규슈 서쪽 해상에서 발생한 99호 열대요란이 8월 19일 14시 무렵 거제도 방향으로 상륙(기상청 바람벡터 기준 분석)하면서 우리나라 남해안 일대에 순간적인 집중호우가 내리는 지역이 곳곳에 있었습니다. 발생 당시의 99호 열대요란은 발생 당시 1009hPa, 중심최대풍속은 약 15노트 수준이었고, 특별히 체크할만한 내용이 있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위성 이미지와 기상청 종합영상을 살펴보면 뭔가 태풍의 구름대 비스무리한것이 스멀스멀 기어올라오는게 딱 보이는데요, 눈 구조까지 보이는 것이 영락없는 태풍의 형태와 동일한 소형 저기압의 형태가 뚜렷히 구분됩니다. 상륙 당시 기압을 보면 중심기압은 약 1006~1008hPa 정도였으며, 중심최대풍속은 미국의 1분 평균.. 2023. 8. 19. 이전 1 2 3 4 5 6 7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