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93호 열대요란 발달정보 - 5호 태풍 송다 발생 임박(2022.07.27. 21:00 기준) 지난 7월 25일 발생하였던 93호 열대요란이 발달을 거듭, 미국 합동경보센터(JTWC)에서는 7월 27일 오전 3시 기준으로 열대저기압 형성경보(TCFA)를 발령하였으며, 같은 시간 기준으로 태풍 명명권을 가진 일본기상청과 한국 기상청에서도 열대저기압 통보문을 발표하기 시작하였습니다.(한국 기상청에서는 10호 열대저압부로 표기) 93호 열대요란의 현재 위치는 괌 국제공항에서 북서쪽으로 약 66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7.8°N 140.5°E 인근 지점이며, 현재 중심기압은 1004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37km 수준의 열대요란입니다. 어찌되었건 TCFA통보문과 함께 동북아시아 태풍 예보기관들 모두 열대저기압 관련 통보문을 내놓기 시작한 상태인데요, 이는 조만간 5호 태풍 송다가 발생 직전이라.. 2022. 7. 28.
93호 열대요란 발생정보(2022.07.25. 15:00 기준) 한국시간으로 7월 25일 15:00 기준으로 괌 동쪽 인근의 수렴구역이 93호 열대요란(93W)으로 식별부호가 붙으면서 열대요란 정보 수집이 시작되었습니다. 현재 열대요란의 위치는 괌 국제공항에서는 북동쪽으로 약 165km, 사이판 국제공항에서는 남남동쪽으로 약 10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4.3°N 146.1°E 인근 지점이며, 중심기압은 1008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28km(15노트)수준입니다. 평소 JTWC의 마커가 붙은 다음에 관련 정보를 올리던 일반적인 포스팅과 달리 이번에는 식별부호가 붙자마자 바로 포스팅을 한 셈인데요, 일단 열대요란 수준이기는 하지만 지금 위치가 괌과 사이판(북마리아나 제도) 부근에 바짝 붙어있는 상황이라 이쪽지역에 꽤 많은 비를 뿌리고 있으며(괌에 홍수-범람주.. 2022. 7. 25.
92호 열대요란 정보(2022.07.24. 15:00 기준) 지난 7월 22일 괌 북서쪽 해상에서 발생한 92호 열대요란에대해 어제(23일)부터 JTWC의 추적 표시가 붙으면서 어느 정도 세력발달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92호 열대요란은 일본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에서 남쪽으로 약 95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27.0°N 139.4°E 인근 지점에 자리하고 있으며 중심기압은 1007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28km(15노트)가량의 속도로 북상중에 있습니다. 현재 한국 기상청의 지상일기도에서는 열대저기압(TD)로 표기되어 있는 상태이기도 한데요 여기까지만 보면 5호 태풍 송다 발생을 이야기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주변 여건을 보면 이 저기압(92W)의 태풍 발달은 매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지난 주말(23일)무렵 우리나라를 통과하였던 장마전선.. 2022. 7. 24.
90호 열대요란 정보(2022.07.11. 15:00 기준) 한국시간으로 지난 7월 9일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발생하였던 90호 열대요란이 서서히 발달하면서 7월 10일부터는 JTWC의 열대요란 추적 표시가 붙게 되었습니다. 현재 90호 열대요란의 중심부는 필리핀 마닐라 국제공항에서 동쪽으로 약 55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4.5°N 126.1°E 인근 지점에 자리하고 있으며, 중심기압 1005hPa, 중심최대풍속 시속 약 28km(15노트)가량의 강도를 가진채 서서히 북상중에 있습니다. 일단 주변환경을 보면 29~30℃의 고수온 영역에 자리하고 있고, 낮은 수준의 연직시어(5~10노트) 환경에 있는 만큼 향후 발달에 유리한 환경이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현재 열대요란이 이동중인 방향인 북서쪽 방향으로는 낮은 연직시어 구역이 루손에서 대만 사이의 영역에 펼쳐져.. 2022. 7. 11.
4호 태풍 에어리 정보 - 예상보다 이른 소멸단계 진입(2022.07.03. 15:00 기준 정보) 4호 태풍 에어리는 현재 제주국제공항에서 남쪽으로 약 59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28.2°N 126.9°E 인근 지점에서 시속 약 9km의 속도(5노트)로 북서진(방위각 325º)중에 있습니다. 현재 태풍의 중심기압은 999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55km(30노트)로 이미 태풍 풍속 기준치인 시속 64km(35노트)아래로 떨어지면서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된 상태입니다. 이러한 태풍의 상태는 당초 북서쪽 구역의 강한 연직시어로 인해 크게 발달하지 못하고 몬순저기압과 열대폭풍 둘 사이에 양다리를 걸치면서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 초기의 모습을 제대로 극복하지 못한 것이 큰 요인으로 보이는데요, 그래도 당초 제주도와 남부지방 부근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 수 있는 태풍일 것이라 예상하였으나 상당히 이른 시기.. 2022. 7. 3.
3호 태풍 차바 중국 상륙, 4호 태풍 에어리는 일본으로 향할 듯(2022.07.02. 15:00 기준 정보) 1. 3호 태풍 차바 정보 3호 태풍 차바는 한국시간으로 7월 2일 15시 현재 중국 광둥성 잔장 공항에서 동쪽으로 약 85km떨어진 21.2°N 111.2°E 인근 지점까지 진출하였으며, 곧이어 중국 남부 해안선(광둥성 마오밍 시 인근)에 상륙하였습니다. 상륙 직전 3호 태풍 차바의 세력은 중심기압 969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130km의 TY급의 태풍까지 발달(SSHS 1등급에 해당)하였으나, 현재는 중국 대륙에 상륙하면서 추가적인 발달은 하지 않고 이후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된 이후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될 것으로 보입니다.(3호 태풍 차바 분석 종료) 상륙 직전 꽤 강한 강도까지 발달하였던 태풍 차바로 인해 베트남 북부지역과 중국 남부, 홍콩, 마카오 일대까지 태풍의 직접 영향권에 들었으며, 상.. 2022.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