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37

5호 태풍 독수리 진로정보 - 대만 남쪽 통과로 진로 서편향 + 6호 태풍 카눈 발생 가능성?(2023.07.23. 21:00 기준) 1. 5호 태풍 독수리 진로정보 5호 태풍 독수리는 필리핀 마닐라 국제공항에서 동쪽으로 약 72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5.1°N 127.7°E 인근 지점에서 시속 약 13km(7노트)의 비교적 느린 속도로 서북서진(방위각 295도)하고 있습니다. 현재 태풍의 중심기압은 972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148km(80노트)의 SSHS 카데고리 1등급에 해당하는 태풍으로 발달하였으며, 이는 한국 기상청 태풍 강도 등급에서는 중간 강도의 태풍이며, WMO기준으로는 STS 등급에 해당하는 강도입니다.(조만간 TY등급에 속하는 2등급 수준 이상 예상) 어제까지만 하여도 홍콩 천문대를 제외한 대부분의 예보 기관들의 전망은 대만 동쪽 해안선인 화롄 인근을 통해 대만에 상륙한 이후 대만을 남동-북서 방향으로 .. 2023. 7. 24.
5호 태풍 독수리 진로 정보 - 대만 관통 후 중국 푸젠성 상륙 전망(2023.07.22. 21:00 기준) 5호 태풍 독수리는 현재 필리핀 마닐라 국제공항에서 동쪽으로 약 1,00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4.5°N 130.3°E 인근 지점에서 시속 약 5.6km(3노트)의 느린 속도로 서북서진(방위각 290도)하고 있습니다. 현재 태풍의 중심기압은 993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74km(40노트)의 열대폭풍(TS)등급으로 발달하였으며, 초기 몬순저기압에서 열대폭풍 단계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있었던 중심부의 불확실성은 현 시점에서는 완전히 사라진 상태이며, 현재 적외선 위성 이미지를 보면 중심부 식별이 확실히 되는 열대폭풍 특유의 형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였습니다. 단기 전망을 보면 일단 태풍의 발달 강도는 꽤 급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태풍이 자리하고 있는 필리핀 동쪽 해상은 1제곱센티미터당.. 2023. 7. 23.
5호 태풍 독수리 발생정보(2023.07.21. 15:00 기준) 북서태평양의 태풍 명명권을 가지고 있는 일본 기상청(RSMC JMA)에서는 2023.07.21. 09:00부로 5호 태풍 독수리가 발생하였음을 공식 발표하였습니다. 아직 미국 JTWC에서는 이 5호 태풍 독수리를 열대저기압(TD)단계에 미치지 못하는 열대요란 등급(98호 열대요란)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일본 기상청에서는 10분 평균 풍속이 태풍 기준인 초속 18m이상의 강풍이 감지된 것으로 판정하면서 두 예보기관의 태풍 판정 상황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일단 현재 5호 태풍 독수리는 필리핀 마닐라 국제공항에서 동쪽을 약 1,20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4.1°N 132.2°E 인근 지점에 자리하고 있으며, 중심기압은 일본 기준으로는 1002hPa, 미국 기준으로는 1005hPa이며, .. 2023. 7. 21.
98호 열대요란 정보 - 5호 태풍 독수리 후보(2023.07.19. 21:00 기준)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7월 13일부터 이어졌던 장마와 집중호우가 그치고 장마가 소강상태에 들어선 7월 19일 현재, 필리핀 동쪽 해상의 98호 열대요란이 점차 발달하는 단계에 들어서면서 5호 태풍 독수리 발생 가능성이 가시권에 들어오고 있습니다. 현재 98호 열대요란의 위치는 팔라우 로만 트메투칠 국제공항에서 북동쪽으로 약 40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9.9°N 132.0°E 인근 지점으로, 현재 열대요란의 중심기압은 1004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37km(20노트)이며, 주변의 연직시어는 낮음에서 중간(10~15노트) 수준이며, 해수면 온도는 29~30℃의 고수온 영역이 주변 환경이어서 발달에 유리한 상태라 볼 수 있습니다. 처음 7월 15일 열대요란 식별부호가 붙던 당시에는 적도 바로 위쪽에 .. 2023. 7. 20.
7월 13일부터의 폭우 종료(2023.07.19. 0:00) 지난 13일부터 충청과 남부지방 일대에 극한강수를 곳곳에 유발한 장맛비는 전선대 자체가 동해상으로 서서히 빠져나가면서 일단 종료된 상태입니다. 이번 폭우의 처음 시작은 수도권 일대의 폭우(7월 13일 서울 일강수량 91.3mm기록)로 시작하였으나 이후 전선대가 남하, 남부지방과 충청권 일대를 오가면서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상당한 양의 강수량을 기록하였고, 18일에는 남쪽에서 99호 열대요란이 접근하면서 장마전선을 마지막으로 활성화시키면서 다시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극한강수를 유발한 다음 전선대가 통째로 동쪽으로 빠져나가게 되었습니다. 이 기간 동안의 일별 강수량 누적값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지역 7월 13일 7월 14일 7월 15일 7월 16일 7월 17일 7월 18일 13일 이후 장마누적 서울 9.. 2023. 7. 19.
7월 17일 전국 누적강수량과 99호 열대요란의 장마전선 영향(2023.07.18. 0:00 기준) 1. 전국 누적 강수량 7월 13일부터 7월 17일까지의 5일간 전국 누적 강수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역 7월 13일 7월 14일 7월 15일 7월 16일 7월 17일 5일 누적 장마누적 서울 91.3 72.7 2.3 19.4 1.2 186.9 479.6 강릉 11.0 11.5 7.3 0.0 1.0 30.8 158.9 속초 9.5 10.3 0.6 0.0 0.0 20.4 191.6 설악산 12.0 34.5 9.5 2.5 2.0 60.5 263.5 원주 47.1 105.8 35.4 0.0 25.5 213.8 480.0 춘천 67.9 48.1 5.6 1.2 0.4 123.2 442.3 대전 9.5 221.8 105.6 1.5 30.9 369.3 779.0 청주 25.6 171.0 256.8 1.8 7.4 4.. 2023. 7. 18.
4호 태풍 탈림 진로정보 및 98호 열대요란 상황(2023.07.17. 21:00 기준) 1. 4호 태풍 탈림 정보 4호 태풍 탈림은 현재 홍콩 국제공항에서 서남서쪽으로 약 33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20.8°N 112.2°E 인근 지점을 지나고 있으며, 이 글 작성 시점 기준으로는 중국 남부 레이저우(雷州) 반도 북쪽 도시인 잔장시 동쪽 해안선을 통해 중국 대륙에 상륙하였습니다. 상륙 직전 4호 태풍 탈림의 중심기압은 970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130km(70노트)의 SSHS 카데고리 1등급에 해당하는 강도까지 발달하였으며, 중국 기상국에서는 광둥성 남부 해안선 일대에 황색 경보를 발령한 상태입니다. 다만 태풍이 육상에 상륙함에 따라 더 이상의 추가 발달은 없을 전망이며, 앞으로 태풍이 중국 내륙을 거쳐 베트남 북부 지방으로 이동하면서 세력이 약화, 조만간 열대저기압으로 약화하.. 2023. 7. 17.
7월 16일 지역별 누적 강수량 및 열대요란의 장마 활성화 가능성(2023.07.17. 0:00 기준) 1. 전국 지역별 누적 강수 현황 7월 13일부터 7월 16일까지 전국 주요지점별 AWS 강수 누적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역 7월 13일 7월 14일 7월 15일 7월 16일 4일 누적 장마누적 서울 91.3 72.7 2.3 19.4 185.7 478.4 강릉 11.0 11.5 7.3 0.0 29.8 157.9 속초 9.5 10.3 0.6 0.0 20.4 191.6 설악산 12.0 34.5 9.5 2.5 58.5 261.5 원주 47.1 105.8 35.4 0.0 188.3 454.5 춘천 67.9 48.1 5.6 1.2 122.8 441.9 대전 9.5 221.8 105.6 1.5 338.4 748.1 청주 25.6 171.0 256.8 1.8 455.2 667.1 서산 37.8 208.1 15.2 .. 2023. 7. 17.
4호 태풍 탈림 진로정보와 5호 태풍 독수리 발생 가능성(2023.07.16. 21:00 기준) 1. 4호 태풍 탈림 정보 4호 태풍 탈림은 현재 홍콩 국제공항에서 남쪽으로 약 29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9.7°N 114.9°E 인근 해상에서 베트남 통킹만 방향으로 향해 서북서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태풍의 중심기압은 977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111km(60노트)의 열대폭풍으로 우리나라나 국제 기준으로는 강한 열대폭풍인 STS등급에 해당하는 강도입니다. 당초 몬순성 순환장에서 유래한 이 4호 태풍 탈림은 발생 초기에는 순환장이 제대로 조직되지 않고 있었으나 현재는 몬순저기압의 특성을 완전히 벗어버리고 완전한 열대저기압 상태로 전환된 상태로 중국 대륙과의 마찰이 본격화되기 이전인 앞으로 약 24시간 정도의 기간이 태풍이 최대로 발달하는 시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2. 5호 태풍 독수리.. 2023. 7.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