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런 저런 잡다한 것들/기상 관련 이야기

아열대 저기압(아열대 폭풍)이란?

by 의솔아빠 2022. 2. 6.
728x90
  • 아열대 저기압(亞熱帶低氣壓, Subtropical Cyclone)

1. 정의

아열대 저기압은 온대 저기압의 특성과 열대 저기압의 특성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저기압을 의미합니다.

1950년대 초 기상학자들이 열대 저기압과 온대 저기압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저기압을 발견하면서 이에 대한 구분을 고민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후 1972년 미국의 국립허리케인센터(NHC)에서 아열대 저기압(Sub-Tropical Cyclone)이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게 이 용어의 시초입니다.


2. 생성 원리

아열대 저기압은 일반적으로 다음 2가지의 생성원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 온대 저기압의 열대성 획득 : 일반적이 온대저기압은 중위도의 한대전선대(위도 60도 부근)에서 서로 다른 두 공기덩어리가 충돌하면서 만들어지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그런데 이 위도보다 상당히 낮은 위도인 회귀선(위도 23도 부근) 바로 위쪽에서 온대저기압이 발생하거나 중위도에서 뜬금없이 저기압이 중저위도 위치까지 남하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이 과정에서 저기압 상층부에 들어가 있는 차가운 공기덩어리와 상대적으로 온난한 해수면 사이의 극심한 온도 차이(심한 경우 40℃ 이상 차이가 발생하기도 함)로 인해 엄청난 대기불안정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중심부 주변에서 폭발적인 연직방향의 뇌운(적란운)이 발생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하층의 온기가 저기압 중심부의 상승기류를 강화시키면서 온대 저기압이 열대성을 획득하게 됩니다.
    브라질 동부 남대서양의 경우 열대폭풍이나 허리케인 발생 자체가 거의 없는 편인데요, 정말 드물게 열대성 폭풍이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사실은 이 과정을 거친 아열대 저기압이라 보시면 됩니다.(그게 아니면 강한 온대 저기압 동반 폭풍)
  • 열대 저기압의 열대성 상실 : 이 과정은 우리나라 위도까지 북상했던 가을태풍의 소멸단계나 가을에서 겨울에 발생하는 유럽폭풍에서 볼 수 있는 모습입니다. 가을철 중위도 이상 위도까지 북상(남반구는 남하)한 열대 저기압(태풍, 사이클론, 허리케인)의 경우 소멸단계에서 고위도의 찬 공기덩어리와 저기압이 가지고 올라온 열대의 더운 공기가 부딛히는 구역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이 경우 열대저기압에 전선대가 달라붙고, 온대저기압의 특성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태풍이 소멸하게 됩니다. 이 단계에서 완전히 온대저기압화하기 이전에 열대 저기압과 온대 저기압의 특성이 동시에 존재하는 순간이 생기는데 보통 이런 상태는 오래 가지 못하고 바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면서 열대저기압의 생애가 끝나는게 일반적입니다.
    태풍 중에서는 2021년 2호 태풍 수리개의 경우 5등급 슈퍼태풍 등급까지 발달하였다가 서서히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면서 소멸하는 단계에서 이 경우를 볼 수 있었는데요, 소멸 단계에서 북쪽의 찬 공기덩어리와 부딛히면서 온대저기압화 되는 과정은 일반적인 태풍과 동일했는데 워낙에 강력했던 태풍인지라 이 과정이 3일이나 걸리면서 이 기간 동안 아열대 저기압의 상태를 보여준 사례가 있습니다.

※ 참조링크 : 유럽태풍? 유럽폭풍!(European Windstorm)

 

유럽태풍? 유럽폭풍!(European Windstorm)

일단 2020년 2월 10일 올라온 뉴스 중 한 꼭지입니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0/nwtoday/article/5659107_32531.html [이 시각 세계] 서유럽, 태풍 영향으로 피해 속출 영국과 독일, 네덜란드 등 서유럽 곳곳

typhoon-air.tistory.com


3. 특성

아열대 저기압은 다음 특성을 가지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물론 모든 아열대 저기압이 이런 특성을 가지는 것은 아니고 대체로 이런 경우가 많다...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애초에 혼종(?) 같은 녀석이라 완전히 딱 맞아 덜어지지 않고 여러 특성들을 종합해서 판별한다... 정도로 보시면 될 듯 싶습니다.

  • 열대저기압 대비 넓은 강풍구역 : 아열대 저기압은 순수한 열대 저기압보다 강풍구역이 더 넓은 범위에 걸쳐서 존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열대 저기압의 경우 중심부로 갈수록 강풍이 거세지는데 비해 아열대 저기압은 중심부보다 주변부의 강풍이 더 강한 경우가 많고, 그 형태 또한 상대적으로 비대칭성이 강한 경우가 많습니다.
  • 저수온 해역에서의 발생/발달 : 온대 저기압와 열대 저기압의 특성이 둘 다 나타나는 만큼 열대 저기압 대비 낮은 수온인 23~24℃ 부근에서 발달할 수 있으며, 20℃에서도 형성되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참고로 열대 저기압의 경우 해수면 온도가 27℃ 정도는 되어야 하는게 일반적인걸 생각하면 상당히 낮은 온도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다 보니 난류대 영역이 아닌 남대서양 구역 같은 곳에서 발생하기도 하며, 태풍이나 사이클론의 성수기(?)인 여름에서 가을철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비수기(?)인 늦가을에서 겨울 바다에서 뜬금없이 발생하는 경우도 꽤 있습니다.
  • 중심부 한랭핵의 존재 : 700~500hPa영역의 상층 일기도를 보면 열대 저기압은 저기압 중심부에 온난핵(W표시)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아열대 저기압은 중심부에 한랭핵(C표시)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는 온대 저기압에서 아열대 저기압으로 넘어가는 저기압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인데요, 한랭핵을 품은 온대 저기압이 중저위도까지 남하하면서 일으키는 대기불안정 현상이 아열대 저기압의 발달 원인 중 하나가 되는만큼 중심부 한랭핵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한동안은 그대로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요상한 위치의 전선대 동반 : 온대 저기압의 경우 한랭전선과 온난전선이 저기압 중심부에서 뻗어나오는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특성은 일기도에 표시되지 않더라도 공기층의 충돌선이 저기압 중심부와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아열대 저기압은 중심부 순환장에 직접 연결되는 전선대가 존재하지 않고 대신 저기압 진행 우측방향(북반구의 경우 동쪽)에 전선대 형태의 구름대가 발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상승기류의 원인이 2가지 : 열대와 온대 저기압의 특성이 둘 다 들어있다보니 저기압의 상승기류를 발생시키는 원인도 열대성과 온대성 2가지가 모두 존재합니다. 보통 중심부 부근은 순수한 해수 잠열에 의한 상승기류에 따른 적란운이 발달하고, 주변부에 서로 다른 두 공기덩어리가 충돌하는 전선대의 형태로 상승기류(정확히는 대기불안정)가 발생하는 구역이 존재합니다. 이게 앞에서 언급한 요상한 위치의 전선대라 할 수 있는데요, 보통 중심부의 잠열로 저기압이 발달할 경우에는 열대성을 획득하는 것으로 보며, 반대로 주변부의 전선대가 강화되는 형태로 나타날 경우에는 열대성을 상실하고 온대 저기압화 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걸 상층 기류도로 전환해서 보면 열대 저기압은 상층 소용돌이의 중심과 저기압 중심부가 거의 일치하지만 아열대 저기압은 저기압 중심부의 상층에 기압골이 자리하는 형태로 나타나게 됩니다.

4. 번호 체계

  • 북대서양 : 번호 자체는 열대폭풍/허리케인 번호와 명칭체계에 통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출발시 아열대 저기압일 경우 Sub-T(ropical)이라는 접두어 표시를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심최대풍속이 허리케인 기준인 64노트 이상부터는 아열대를 의미하는 접두인 Sub를 떼어버리고 그냥 허리케인을 의미하는 접두어인 HU를 붙이게 됩니다.
  • 북서태평양 : 북서태평양구역은 태풍과 아열대 저기압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태풍에 통합해서 같은 취급을 하고 있습니다. 다만 아열대 저기압을 태풍으로 인정할지 여부는 북서태평양구역의 지역기상센터를 담당하고 있는 일본 기상청(RSMC-Tokyo [JMA])의 해석을 따릅니다. 이 때문에 미국 합동경보센터(JTWC)와 일본 기상청(JMA)의 해석이 간혹가다 엇갈리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2020년 30호 아열대폭풍 세타 적외선 위성 이미지

5. 실제 사례 : 다음 링크는 2020년에 북대서양에서 발생한 30호 아열대 폭풍 세타(Sub-TS 30L Theta)가 보여준 실제 사례입니다.

2020.11.10 - [허리케인 및 사이클론/2020년] - 대서양 아열대폭풍 세타-Subtropical Storm 30L Theta - 아열대저기압의 특성 살펴보기(2020.11.10. 09:00 기준)

 

대서양 아열대폭풍 세타-Subtropical Storm 30L Theta - 아열대저기압의 특성 살펴보기(2020.11.10. 09:00 기

이 포스트는 우리나라가 있는 북서태평양쪽이 아닌 북대서양 구역 이아기입니다. 한국시간으로 2020.10.11. 09:00 기준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NHC)에서는 아열대폭풍 세타(Theta)의 발생을 공식 인

typhoon-air.tistory.com

 

※ 이 포스트의 내용은 영문 위키피디아의 아열대저기압(subtropical cyclone)의 내용 일부를 발췌 및 참조하여 작성한 것입니다.

- 참조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Subtropical_cyclone

 

Subtropical cyclone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Meteorological phenomenon Subtropical Storm Ana in the North Atlantic, May 2021. A subtropical cyclone is a weather system that has some characteristics of a tropical and an extratropi

en.wikipedia.org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