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91호 열대요란 발달정보 - 12호 태풍 무이파로 발달하나(2022.09.06. 15:00 기준)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아직 한반도에 상륙하기 직전인 어제(9월 5일) 91호 열대요란의 발달소식을 함께 포스팅하였었는데, 오늘 오전(9/6 09:00) 기준으로 미국 JTWC에서 이 91호 열대요란에 대해서 열대 저기압 형성 경보(Tropical Cylclone Formation Alert)를 발령하면서 12호 태풍 무이파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었습니다. TCFA가 내려진 이 91호 열대요란은 9/6 15:00 현재 괌 국제공항에서는 북서쪽으로 약 1220km, 일본 이오토(이오지마) 자위대 기지에서는 서남서쪽으로 약 570km 가량 떨어진 21.6°N 137.0°E 인근 필리핀해 해상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현재 열대요란의 중심기압은 1005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37km(20노트)수준으.. 2022. 9. 6.
11호 태풍 힌남노 상륙 후 이동경로(기상청 바람벡터값 기준) 태풍 힌남노 상륙 후 이동경로 - 부산 동쪽-울산 남쪽 이동경로 한국기상청은 11호 태풍 힌남노가 9월 6일 오전 7시를 기해 울산 앞바다로 빠져나갔음을 발표하였습니다. 마지막 상륙 순간에 태풍의 경로가 동쪽으로 밀리면서 당초 예상하였던 통영 부근보다 동쪽으로 약 50km정도 동쪽으로 이동한 경로로 상륙한 셈인데 막판에 이동속도에 계속 가속이 붙고, 이 경로로 태풍이 지나면서 전체적인 영향시간 자체는 짧아지는 결과로 이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기상청 자동관측장치에 기록된 바람벡터값을 보면 태풍이 부산-경남 동해안을 거의 스치듯이 상륙하여 지나간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바람벡터값 기준으로 보면 태풍의 부산-울산 통과 시점은 05:50 무렵 부산 오륙도 인근 해안선으로 상륙한 이후 기장군을 거쳐 06:55 .. 2022. 9. 6.
11호 태풍 힌남노 진로 정보 - 9월 5일 밤에서 6일 오전까지가 고비(2022.09.05. 15:00, 21:00 기준) ※ 9/5 21:00 기준 내용 추가 9/5 21:00 기준 내용으로 추가 업데이트 합니다. 11호 태풍 힌남노는 9/5 21:00 현재 제주국제공항에서 남쪽으로 약 110km가량 떨어진 해상에서 시속 약 48km(26노트)의 속도로 경남 통영방향을 향해 북동진중에 있습니다. 6시간 이전 태풍의 이동속도는 시속 약 26km정도 수준이었으나 지금 속도는 거의 2배가 빨라진 상태로 태풍 자체의 이동속도가 빨라지는 추세에 들어섰습니다. 문제는 제주도를 불과 100km도 남겨놓지 않은 상황(서귀포항 남쪽 약 80km)에서 태풍의 세력이 좀처럼 약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인데요, 현재 태풍의 중심기압은 943hPa, 중심최대풍속도 시속 약 185km(100노트)로 여전히 3등급 태풍에 해당하는 세력을 온존한 상태로 .. 2022. 9. 5.
91호 열대요란 발달정보 - 12호 태풍 무이파로 이어질 가능성 있어(2022.09.05. 15:00 기준) 대한민국이 11호 태풍 힌남노의 직간접 영향권으로 비상이 걸린 가운데, 11호 태풍 힌남노가 발생하였던 북서태평양 인근 구역에서 새로운 열대요란(91W)이 발달하여 12호 태풍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생기기 시작하였습니다. 현재 91호 열대요란은 현재 일본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에서 남쪽으로 약 1,24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24.4°N 140.7°E 인근 지점에서 중심기압 1006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28km(15노트) 수준의 저기압으로 발달중입니다. 지난 9월 4일 오전 9시 무렵에 발생하였던 91호 열대요란은 당초 열대요란 번호가 붙기 이전에는 몬순골(Monsoon Trough)의 형태에 가까운 소용돌이였었으나, 이후 이 순환장의 범위가 점차 좁혀지면서 열대요란 번호가 붙고 발생 하루를 조금.. 2022. 9. 5.
11호 태풍 힌남노 진로 정보 - 본격 영향 시작(2022.09.04. 21:00 기준) 11호 태풍 힌남노는 현재 제주국제공항에서 남쪽으로 약 65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27.8°N 124.7°E 인근 지점에서 시속 약 15km(8노트)의 속도로 북상중(방위각 005º)에 있습니다. 현재 태풍의 중심기압은 942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194km(1분 평균값/105노트)의 3등급 태풍으로 어제 같은 시간 대비 중심기압은 약 14hPa, 중심최대풍속은 10노트(18.5km/h)가량 증가하면서 태풍이 북상하면서 확연하게 재발달하고 있는것이 확인됩니다. 태풍 예보기관들이 한국시간 기준으로 21시에 내놓은 태풍 예상 진로 자체는 어제 예상 진로와 비교해도 큰 변화는 없으나 미국 합동경보센터(JTWC)의 예상진로는 약간 동쪽으로 편향되어 거제도 상륙에서 거제도를 스친 뒤 부산항을 직격하는 .. 2022. 9. 5.
태풍 위치 실시간 확인하는 방법 매년 우리나라 부근으로 태풍이 북상할 때 마다 태풍의 위치에 대해서 관심이 높아지며, 현재 태풍의 위치가 어디쯤에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검색량도 많아지고, 관련 정보들도 여기저기서 올라오기 시작합니다. 문제는 워낙에 많은 한꺼번에 정보들이 쏟아지다 보니 웹에서 확인가능한 많은 정보들 중에서 가장 최근값에 가까운 정보가 어떤 것인지 확인이 안되는 경우가 많고(자료값의 기준시간대 표기가 시급합니다), 이로 인해 상황을 오판하는 등이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어 이와 관련한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사실 알고보면 별거 아닙니다) 1. 기상청 및 각국 예보기관 통보문 활용하기 태풍이나 허리케인과 같은 열대성 저기압이 발생할 경우 기상 예보 기관들의 통보문이 올라오는 간격은 국제적으로 6시간 간격으로 통일되어 .. 2022. 9.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