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2호 태풍 무이파 진로정보와 13호 태풍 므르복 발생 가능성(2022.09.10. 21:00 기준) 1. 전반적인 개황 9월 10일 현재 북서태평양 구역에는 현재 12호 태풍 무이파가 북상중인 가운데 일본 남동쪽 먼 북태평양 해상에는 92호 열대요란(92W)과 93호 열대요란(93W)이 일종의 몬순골(Monsoon Trough) 형태의 광범위한 순환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중 동쪽의 93호 열대요란이 13호 태풍 므르복으로 발달할 가능성을 어느 정도 내비치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11호 태풍 힌남노가 영향을 주고 지나간지 얼마 안되는 시점인만큼 현재 북상중인 12호 태풍 무이파와 앞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13호 태풍 므르복에 대한 관심이 있을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2. 12호 태풍 무이파 진로정보 12호 태풍 무이파는 9/10 21:00 현재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타이베이.. 2022. 9. 10.
12호 태풍 무이파 진로 정보 - 대만 동쪽 통과 무렵 약화 전망(2022.09.09. 21:00기준) 12호 태풍 무이파는 9월 9일 21시 현재 일본 오키나와 나하 국제공항에서 남쪽으로 약 70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9.9°N 128.0°E 인근 해상에서 시속 약 18~19km(10노트)의 속도로 북서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태풍의 중심기압은 993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111km(60노트)가량의 열대폭풍(TS)수준의 강도로 한동안은 발달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태풍 자체는 발달을 지속하면서 대만과 일본 오키나와 사이의 아예야마 제도 인근 해역으로 향할 것으로 보이며, 이 부근에서 최성기를 맞은 이후(JTWC 통보문 기준 4등급 TY 예상) 북위 25도선 이북부터는 그 세력이 급속도로 꺾일 전망입니다. 이는 12호 태풍 무이파 발생 직전 일부 웹에서 윈디의 단일 시뮬레이션 결과.. 2022. 9. 9.
12호 태풍 무이파 발생정보(2022.09.08. 09:00 기준) 북서태평양 구역의 태풍 명명권을 가진 일본기상청에서는 9월 8일 09:00 기준으로 12호 태풍 무이파(MUIFA)가 공식 발생하였음을 발표하였습니다. 현재 12호 태풍 무이파의 위치는 일본 오키나와 나하 국제공항에서 남남동쪽으로 약 115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7.1°N 133.0°E 인근 지점이며, 중심기압은 1002hPa 중심최대풍속은 74km(40노트)의 열대폭풍 수준으로, 시속 약 14km의 속도로 서북서진하고 있습니다(7~8노트). 일단 11호 태풍 힌남노가 지나간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연이은 태풍 발생 소식이 나오면서 다시 우리나라로의 영향여부가 관심사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 실제 우리나라의 영향 가능성은 우리나라 남쪽에 자리한 아열대 고기압의 두 봉우리 위치에 따라 실제 태풍의 진로가.. 2022. 9. 8.
91호 열대요란 열대폭풍(TS)급으로 발달, 12호 태풍 무이파 발생 임박(2022.09.07. 15:00 기준) 미국 JTWC에서는 한국시간 기준으로 9월 6일 오후 9시 기준으로 TCFA가 발효되었던 91호 열대저기압이 열대폭풍(TS)단계에 올라선 것으로 보고 TD-14W라는 자체 식별부호를 붙이고 관련 통보문 발표를 하기 시작하였습니다.(포스팅 시점 기준으로는 TS-14W) 9/7 15:00 현재 열대저기압의 위치는 일본 오키나와 나하 국제공항에서 남동쪽으로 약 1,26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7.0°N 134.8°E 인근 해상이며, 중심기압 998hPa, 중심최대풍속 시속 약 83km(45노트 / 1분 평균)의 TS급에 해당하나 10분 평균값을 사용하는 일본 기상청에서는 아직 이 저기압에 대해서는 아직 이보다 낮은 값인 시속 약 55km(30노트)로 보고 있습니다. 16:30기준으로 공식 태풍 명명권을 가진.. 2022. 9. 7.
91호 열대요란 발달정보 - 12호 태풍 무이파로 발달하나(2022.09.06. 15:00 기준)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아직 한반도에 상륙하기 직전인 어제(9월 5일) 91호 열대요란의 발달소식을 함께 포스팅하였었는데, 오늘 오전(9/6 09:00) 기준으로 미국 JTWC에서 이 91호 열대요란에 대해서 열대 저기압 형성 경보(Tropical Cylclone Formation Alert)를 발령하면서 12호 태풍 무이파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었습니다. TCFA가 내려진 이 91호 열대요란은 9/6 15:00 현재 괌 국제공항에서는 북서쪽으로 약 1220km, 일본 이오토(이오지마) 자위대 기지에서는 서남서쪽으로 약 570km 가량 떨어진 21.6°N 137.0°E 인근 필리핀해 해상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현재 열대요란의 중심기압은 1005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37km(20노트)수준으.. 2022. 9. 6.
11호 태풍 힌남노 상륙 후 이동경로(기상청 바람벡터값 기준) 태풍 힌남노 상륙 후 이동경로 - 부산 동쪽-울산 남쪽 이동경로 한국기상청은 11호 태풍 힌남노가 9월 6일 오전 7시를 기해 울산 앞바다로 빠져나갔음을 발표하였습니다. 마지막 상륙 순간에 태풍의 경로가 동쪽으로 밀리면서 당초 예상하였던 통영 부근보다 동쪽으로 약 50km정도 동쪽으로 이동한 경로로 상륙한 셈인데 막판에 이동속도에 계속 가속이 붙고, 이 경로로 태풍이 지나면서 전체적인 영향시간 자체는 짧아지는 결과로 이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기상청 자동관측장치에 기록된 바람벡터값을 보면 태풍이 부산-경남 동해안을 거의 스치듯이 상륙하여 지나간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바람벡터값 기준으로 보면 태풍의 부산-울산 통과 시점은 05:50 무렵 부산 오륙도 인근 해안선으로 상륙한 이후 기장군을 거쳐 06:55 .. 2022. 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