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3호 태풍 꼰선 진로정보 및 14호 태풍 찬투 발생 임박정보(2021.09.07 06:00 기준) 1. 13호 태풍 꼰선 정보 당초 루손 섬 북쪽을 관통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13호 태풍 꼰선이 밤 사이에 필리핀 중부 사마르섬에 상륙하면서 예상보다 이른 상륙을 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현재 태풍의 위치는 필리핀 세부 국제공항 북동쪽 약 160km지점인 사마르 타크로반 인근 육상(11.7°N 125.2°E 부근)을 통과하였으며 오늘 오전 중에는 필리핀 내해를 통과하면서 필리핀 중부 지역을 중심으로 강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태풍의 중심기압은 993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102km(55노트)의 수준까지 올라왔으며, 육지와의 마찰이 있기는 하지만 필리핀해 내해에서 약간의 추가 발달을 더 거쳤다가 이후 육지와의 마찰로 일시 약화될 전망입니다. 필리핀 기상청에서는 자체 명칭인 Jolina.. 2021. 9. 7.
13호 태풍 꼰선 발생정보 및 14호 태풍 찬투 발생 예상(2021.09.06. 15:00 기준) 오늘 아침까지만 하여도 필리핀 동쪽의 95호 열대요란이 열대저기압 수준으로 제한되고, 괌 서쪽에 있는 94호 열대요란이 수일 내 13호 태풍 꼰선으로 발달할 것으로 예상하였는데 오늘(9/6) 오후에 필리핀쪽의 95호 열대요란에 갑작스럽게 공식 태풍번호가 붙어서 13호 태풍 꼰선이 공식 발생하게 되었고, 괌 서쪽의 94호 열대요란에 TCFA 통보문이 내려지면서 조만간 14호 태풍 찬투도 뒤이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 되었습니다 1. 13호 태풍 꼰선 정보 오늘 낮 사이에 급작스럽게 발달한 13호 태풍 꼰선은 현재 필리핀 세부 국제공항 동쪽 약 380km해상인 10.8°N 126.9°E 인근 지점에서 북동쪽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현재 태풍의 중심기압은 1000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74km(.. 2021. 9. 6.
94, 95호 열대요란 발달정보 - 95호 열대요란 TCFA발령(2021.09.06. 08:00 기준) 어제 포스팅을 하였던 2개의 열대요란(94, 95호)이 모두 발달단계에 들어섰으며, 포스팅 작성 시점 직전인 9/6 08:00(한국시간) 기준으로 필리핀 인근의 95호 열대요란에 대해서는 열대저기압 형성 경보(TCFA)가 발효되었으며, 94호 열대요란도 24시간 이내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이 중간(MEDIUM) 등급으로 상향조정되었습니다. 1. 95호 열대요란 우선 필리핀 동편의 95호 열대요란 정보입니다. 현재 세부 막탄 국제공항 동쪽 약 490km해상인 10.2°N 128.5°E인근에 자리하고 있는 95호 열대요란은 현재 중심기압 1006hPa, 중심최대풍속 시속 약 37km 가량으로 그렇게 강한 상태는 아니지만 현재 운정온도가 -70℃ 부근까지 내려가는 등 발달상태가 꽤 양호한 상황입니다. 현재 필.. 2021. 9. 6.
94, 95호 열대요란 정보(2021.09.05 15:00기준) 1. 94호 열대요란 지난 주 후반에 괌 남동쪽에서 발생하였던 94호 열대요란은 지난 며칠동안 서쪽으로 꽤 많이 이동하여 현재는 괌 국제공항 남서쪽 약 520km해상인 11.2°N 140.6°E 부근까지 이동한 상태입니다. 현재 중심기압은 1007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28km(15노트)수준으로 일단 국제예보모델의 예측은 이 열대요란은북서쪽으로 이동하면서 약간의 강도 증가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해수면 온도만 놓고 보면 30℃를 넘어서는 고수온 영역이고 연직시어는 낮음에서 중간 정도 수준인 10~20노트 정도를 왔다갔다 하고 있는데 문제는 바로 부근에서 95호 열대요란이 발달하면서 이 둘이 상호작용을 하면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2. 95호 열대요란 발생 자체는 어제 오전 무렵 열대.. 2021. 9. 5.
94호 열대요란 정보(2021.09.03. 15:00 기준) 우선 지난 포스트에서 언급했던 93호 아열대요란은 17호 열대저기압(TD 17W)으로 발달하였으나 한국 기상청(KMA)이나 일본 기상청(JMA)에서는 이를 태풍 발달 가능성이 없는 열대 저기압으로 판단하고 있어 별다른 언급은 없는 상황입니다.(이런 이유로 공식 태풍번호와 JTWC의 열대저기압 번호가 5개까지 벌어지게 되었습니다) 해당 열대저기압은 이미 북위 30도선을 넘겨서 중위도 범위에 들어선데다 바로 북쪽에 형성된 가을장마전선(정체전선)쪽으로 접근함에 따라 태풍 발달 이전에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거기다 주변부 해양열용량도 급격히 감소하는 구간을 넘어선만큼 태풍 강도에 도달하지 못하고 이미 쇠퇴기에 접어들었고요 그 사이에 어제 저녁쯤 괌 부근에서 형성되기 시작한 94호 열대요란.. 2021. 9. 3.
93호 (아)열대요란정보 - 아열대저기압 발생 가능성(2021.09.02. 06:00) 어제까지 별다른 열대성 기상활동이 관측되지 않던 북서태평양 구역에 갑자기 TCFA가 발효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발생하자마자 TCFA가 내려진 상태인데 아무래도 아열대성을 가진 요란현상이다 보니 이런 상황이 벌어진게 아닌가 싶습니다. 일단 JTWC에서는 이 93호 열대요란을 아열대요란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저기압의 현재 위치는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에서 동남동쪽으로 약 222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26.9°N 159.7°E 부근에 자리하고 있으며, 중심기압은 1006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55~56km 정도의 다소 강한 바람을 동반한 상태입니다. 우리나라 기상청 지상일기도에는 이 열대요란을 열대저기압(TD)으로 표기하고 있는데요, 상층 일기도를 보면 일반적인 열대저기압이 온난핵을 가지고 있는 .. 2021. 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