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37

22호 열대저기압 발생정보 - 17호 태풍 라이언록 발생 가능성(2021.10.07. 18:00 기준) 오늘 오후 JTWC에서는 3일 전 열대저기압 형성 경보인 TCFA 통보문이 발효되었던 92호 열대요란에 대해 22호 열대저기압(TD 21W, 한국기상청 37호 열대저압부)으로 격상 발표를 하였습니다. 현재 하이난 싼야 펑황국제공항 남서쪽 약 210km해상인 17.1°N 111.0°E 인근에 자리한 열대저기압의 중심기압은 999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55~56km(30노트) 정도 수준으로 태풍 기준 바로 직전단계라 할 수 있는 상태로 중국 하이난을 향해 북서진하고 있습니다. RSMC나 JTWC, 한국 기상청 모두 24시간 이내에 17호 태풍 라이언록의 발생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는 상황인데요, 이미 주변부 순간 풍속은 40노트에 이르는 구역이 형성되어 있는만큼 태풍 17호 태풍의 발생 자체는 시간.. 2021. 10. 7.
92호 열대요란 정보 - 17호 태풍 라이언록 발생 가능성(2021.10.05. 06:00 기준) 지난 개천절 연휴 초반에 발생한 92호 열대요란에 대해 지난 밤 사이 TCFA가 발효, 17호 태풍 라이언록이 발생할 가능성이 꽤 높은 상태가 되었습니다. 현재 92호 열대요란의 위치는 10.3°N 119.4°E 인근으로 필리핀 푸에르토 프린세사(팔라완 국제공항) 북동쪽 약 90km지점이며, 오늘 오전 중 남중국해 해상으로 빠져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저기압의 중심기압은 1007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41km(22노트)가량으로 필리핀 기상청에서는 이 열대요란을 열대저기압으로 판정하고 자체 태풍(사이클론) 명칭인 래니(LANNIE)라는 이름을 부여하였습니다. 일단 필리핀 기상청의 예보나 국제 예측 모델의 결과를 보면 남중국해 진입 직후 태풍으로 승격하지는 않고 어느 정도(36~48시간) 북서방.. 2021. 10. 5.
16호 태풍 민들레 및 91호 열대요란 정보(2021.09.28. 06:00 기준) 16호 태풍 민들레는 현재 일본 나고야 주부 센트레아 국제공항에서 남쪽으로 약 1,590km떨어진 거리 해상인 20.5°N 136.3°E 인근 지점에서 시속 약 7~8km(4노트)의 비교적 느린 속도로 북서진하고 있습니다. 한 때 중심최대풍속 145노트의 5등급 슈퍼태풍까지 발달했던 태풍 민들레는 주변 해양 열용량의 소진과 현재는 그 세력이 약화 중심기압 962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167km(90노트)의 2등급 태풍의 세력까지 내려온 상태입니다. 그러나 다소 약화되었다고는 해도 상당한 위력인건 여전하고 위성사진으로만 봐도 태풍의 눈이 여전히 뚜렷한 상태에 북쪽에 해양열용량이 다소 높은 구역이 있어 태풍의 세력이 3등급으로 재발달할 가능성이 있어서 절대로 무시할 상태는 아니라 할 수 있습니다. .. 2021. 9. 28.
16호 태풍 민들레 진로 정보 - 슈퍼태풍 발달, 일본 도쿄 앞바다 방향으로 진행 예상(2021.09.26. 18:00 기준) 16호 태풍 민들레는 현재 일본 오키나와 나하 국제공항에서 남동쪽으로 약 1,24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8.8°N 136.7°E 부근에서 거의 정체하다시피한 느린 속도로 북서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태풍의 중심기압은 908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268km(145노트)의 5등급 슈퍼태풍 등급에 들어섰으며, 올해 들어 발생한 3번째 슈퍼태풍 등급에 도달한 태풍이 되었습니다. 적외선 영상을 보면 태풍의 눈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정도를 넘어서 T값이 아무리 낮게 잡아도 7은 넘을 것으로 보이는 아주 완벽한 태풍의 형상을 갖춘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 이 부근에 육지가 없어서 별다른 피해가 없는 상황이지만 이게 만일 육지 어느 곳에 상륙한 상태라면 말 그대로 주변을 쓸어가 버리는 매우 강력한 태풍.. 2021. 9. 26.
16호 태풍 민들레 진로정보 - 오키나와 동쪽 해상 진출 예상(2021.09.24. 06:00 기준) 어제 오후 15호 태풍 뎬무의 발생에 이어 밤 사이에 16호 태풍 민들레가 발생하였습니다. 베트남쪽에서 발생한 15호 태풍 뎬무의 경우에는 밤 사이에 베트남 해안선에 상륙하면서 곧바로 열대저기압으로 약화, 소멸단계에 들어갔지만 괌 인근에서 발달한 16호 태풍 민들레는 주변 해상의 높은 열용량과 낮은 연직시어 등으로 한동안은 추가발달을 하는 단계에 들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16호 태풍 민들레는 현재 괌 국제공항에서 서북서쪽으로 약 330km 거리 해상인 14.1°N 141.8°E인근에서 서북서쪽 방향으로 시속 약 18~19km(10노트)의 속도로 이동중에 있습니다. 16호 태풍 민들레는 어제 하룻동안 괌 일대에 영향을 주었는데요, 현재는 태풍의 간접 영향으로 괌과 북마리아나 제도(사이판) 일대에 강풍 및 .. 2021. 9. 24.
15호 태풍 뎬무 발생정보 및 16호 태풍 민들레 예상(221.09.23. 18:00 기준) 1. 15호 태풍 뎬무 정보 오늘 오전 16호 태풍 민들레 발생 가능성이 다소 있다고 포스팅했던 21호 열대저기압이 앞서 발생한 괌 인근의 20호 열대저기압보다 먼저 공식 태풍으로 승격하면서 예상했던 순서가 뒤섞이는 상황이 발생하였습니다. 현재 15호 태풍 뎬무는 베트남 다낭 국제공항 남동쪽 약 290km 거리 해상인 14.3°N 110.2°E 인근 지점에서 서북서쪽 방향으로 진행중에 있으며 조만간 베트남 다낭 남동쪽에서 약 140~150km가량 떨어진 베트남 중부 해안선으로 상륙할 것으로 보입니다(광응아이 인근) 태풍의 중심기압은 1003hPa, 중심최대풍속은 태풍 기준 풍속을 간신히 넘긴 열대폭풍급 수준인 시속 약 65km(35노트) 가량으로 베트남 해안선 상륙과 동시에 약화되기 시작할 것으로 보입니.. 2021. 9. 23.
20, 21호 열대저기압 발생정보 - 15호 태풍 뎬무, 16호 태풍 민들레 발생 가능성(2021.09.23. 06:00 기준) 1. 20호 열대저기압(TD 20W) 정보 99호 열대요란에서 발달한 20호 열대저기압은 현재 괌 국제공항 남동쪽에서 약 35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1.8°N 147.5°E인근에서 괌을 향해서 북서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저기압의 중심기압은 1003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55km(30노트) 가량으로 향후 24~48시간 이내에 14호 태풍 뎬무로 발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20호 열대저기압이 향하고 있는 괌 인근 해역의 경우 최소 150~175KJ/㎠을 넘는 해양열용량 구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직시어 상황은 북태평양 고기압의 세력이 어느 정도 가로막고 있는 북쪽 구역을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태풍 발달에 매우 유리한 조건이라 할 수 있어 보입니다. 현재 다수의 .. 2021. 9. 23.
99호 열대요란 발달정보 - 15호 태풍 뎬무 발생 가능성(괌, 사이판 등지 영향)(2021.09.21 21:00 기준) 추석 연휴기간동안 별다른 열대성 기상현상이 없을 줄 알았는데 며칠 전 마셜제도 영역에서 발생한 99호 열대요란이 발달, 현재는 열대저기압 형성 경보인 TCFA통보문이 나오면서 15호 태풍 뎬무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 상태입니다.(사실 TCFA가 아니었으면 연휴기간에는 포스팅 자체를 안할까도 했었습니다) 99호 열대요란은 현제 괌 국제공항 동남동쪽 약 770km거리 해상인 11.2°N 151.5°E 인근에서 발달중인데요, 열대요란의 중심기압은 1006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37km가량의 열대요란 상태로 괌 방향으로 서북서진 하고 있습니다. 이 열대요란의 발달로 인해 현재 괌 기상대에서는 9월 22일 수요일 돌풍과 함께 소나기, 뇌우가 발생할 것을 예보하고 있으며, 이번 주 금요일에서 주말 무렵 괌.. 2021. 9. 22.
14호 태풍 찬투 정보 - 오늘 오후 일본 큐슈 상륙 예상(2021.09.17. 6:00 기준) 14호 태풍 찬투는 9/17 06:00 기준으로 제주국제공항 남쪽 약 130km해상인 32.3N 126.7E인근에서 시속 약 18~19km(10노트)의 속도로 동북동쪽 방향으로 이동중에 있으며, 이 포스트 작성 시점 기준인 08:00 현재는 제주도 서귀포 남동쪽 약 100km인근 해상을 통과 일본 방향으로 이동중에 있습니다. 현재 태풍의 중심기압은 990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92~93km(50노트)의 세력으로 제주도 남동쪽 해상을 통과하고 있으며, 제주도의 경우 섬 전체가 태풍의 강풍반경 안쪽에 들어와 있는 상태입니다. 지금 포스트를 작성하고 있는 시점이 제주도에 있어서 태풍의 최대 근접지점이 되면서 마지막 고비가 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요, 지금 이동속도대로라면 오후부터는 제주도 서쪽 구역부터.. 2021. 9.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