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호 열대요란은 지난 월요일 무렵 발생하였는데요, 지난 포스트에서 91호 열대요란을 언급한 이후 해당 몬순골에서 여러 순환장이 발생했다 소멸하기를 반복하였는데 그 중 95호 열대요란이 유의미하게 살아남아서 TCFA 통보문까지 오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JTWC에서 TCFA통보문을 발효한 95호 열대요란은 현재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에서 동남동쪽으로 약 50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34.5°N 145.1°E 인근 지점에서 북상중에 있습니다.
현재 열대요란의 중심기압은 996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37km(20노트)에 불과한 상태로 도쿄와 비슷한 위도까지 올라와 버린 상태인데요 이미 중위도 이상 범위로 올라와 버렸기 때문에 열대성 폭풍으로 발달하기 보다는 온대성이 강화된 아열대저기압이나 온대저기압으로 변화한 이후 소멸 단계를 밟을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JTWC에서 TCFA통보문을 발효했지만 95호 열대요란에서 9호 태풍 루핏이 발달하기는 어려울 전망입니다.
지난 며칠 전까지 북서태평양 구역에 강하게 형성되어 있던 기압골은 현재 대만과 일본-마리아나제도 사이 해상으로 양분되면서 본래 있던 몬순골 양 끄트머리에 추가로 2개의 열대요란(96, 97호)이 추가로 발달한 상황입니다.
일단 96호 열대요란은 일본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에서 남남동쪽으로 약 120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24.9°N 142.5°E인근에 자리하고 있으며, 현재 중심기압은 999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28km 정도 수준입니다.
이 열대요란은 현재 95호 열대요란이 북상하면서 늘어뜨린 기압골을 따라 북쪽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후 북태평양 고기압의 확장이 있을 경우 따라 중간에 서쪽 방향으로 역회전하며 일본 열도 방향으로 향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상태에서 태풍 발달 가능성은 낮아보이지만 일단 낮은 연직시어와 높은 해수면 온도 자체는 태풍 발달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여건인 만큼 다음주 초반이면 실제 태풍 발생 가능성 여부를 볼 수 있을 듯 싶습니다.
북서태평양에 형성되었던 몬순골의 반대쪽 끄트머리에서 생긴 97호 열대요란은 현재 대만 부근에 자리하고 있는데요
일단 현재 위치는 대만 타이베이 타오위안 국제공항 동쪽 약 380km, 오키나와 나하 국제공항에서는 서남서쪽으로 약 28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25.4°N 125.0°E 부근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쪽의 중심기압은 999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28km 정도 수준으로 약간 먼저 발생한 96호 열대요란과 거의 동일한 수준입니다.
97호 열대요란의 조건도 높은 해수온도와 낮은 편에 속하는 연직시어로 어느 정도 발달할 가능성은 있으나 이쪽도 문제는 역시 상대적인 고위도에, 주변부의 연직시어가 그다지 친절한(?) 수준이 아닌지라 이후 기류 변화에 따라 향후 발달 상태가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태풍정보 > 2021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98호 열대요란 - 12호 열대저기압으로 발달, 9호 태풍 루핏 발생 가능성은 아직 낮아(2021.08.02 18:00 기준) (2) | 2021.08.02 |
---|---|
96, 98호 열대요란 발달정보 - 9호 태풍 루핏 및 10호 태풍 미리내 발생 가능성(2021.08.01. 21:00 기준) (0) | 2021.08.01 |
91호 열대요란 발생정보(2021.07.28 06:00 기준) (0) | 2021.07.28 |
8호 태풍 네파탁 - 아열대폭풍 상태로 28일 오전 일본열도 상륙 예상(2021.07.27. 18:00 기준) (0) | 2021.07.27 |
6호 태풍 인파(소멸단계) 및 8호 태풍 네파탁 진로 정보(2021.07.26. 21:00 기준) (0) | 2021.07.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