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태풍정보/2024년

17호 열대저기압(TD 17W) - 16호 태풍 시마론으로는 발달하지 못할 듯(2024.09.21. 09:00 기준)

by 의솔아빠 2024. 9. 21.
728x90

1. TD 17W 정보 - 16호 태풍 시마론 발달 가능성은 매우 낮음

JTWC 제공 TD 17W

JTWC에서 TCFA발령을 하였던 대만 동쪽의 90호 열대요란이 발달, 9월 21일 03시 기준으로 JTWC에서는 이 90호 열대요란을 17호 열대저기압(TD 17W)으로 판정하면서 통보문을 내기 시작하였습니다.(한국기상청 기준 34호 열대저압부)

9월 21일 19시 현재 이 열대저기압의 위치는 대만 타이베이 타오위안 국제공항에서 동북동쪽으로 약 190km가량 떨어진 거리 해상인 25.5°N 123.1°E 지점이며, 중심기압 998hPa, 1분 평균 최대풍속 시속 약 45km(25노트)의 열대저기압에 해당합니다.

CIMSS 제공 TD 17W 적외선 이미지

여기까지만 놓고 보면 16호 태풍 시마론의 발생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도 있겠으나, 1분 평균 풍속을 사용하는 JTWC에서조차 태풍 단계로 올라서지는 못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어, 사실상 태풍 발달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위성 이미지만 봐도 중심부와 비구름대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모습이 확연하며, 특히 대만이라는 고고도의 육지로 인한 마찰로 제대로 된 대칭성을 갖추지 못할 상황이다 보니 전반적인 전망은 몬순저기압 상태에서 더 발달하지 못하고 대만 북쪽을 지나 대만해협으로 진입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확률은 낮지만, 대만해협 진입 직전 소형 태풍으로 급발달할 가능성은 남아있어서 하루 정도는 더 지켜볼 필요성은 있겠습니다.(태풍과 무관하게 대만, 푸젠성 일대 강풍 및 호우 가능성 높음)

2. 14호 태풍 풀라산 정보 - 열대저기압의 뒤끝(?)

한편, 중국 내륙에서 열대저기압으로 약화한 뒤, 다시 서남해상으로 진출한 17호 태풍 풀라산은 현재 전남 신안군 가거도 서남서쪽 약 230km해상에서 우리나라 여수-통영을 연결하는 남해안 일대로 동북동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열대저기압의 중심기압은 약 998hPa(한국 기상청 1000hPa), 1분 최대풍속은 시속 약 55km(30노트, 한국기상청 10분 평균 풍속 54km/h)의 열대저기압으로 오늘(21일) 오후 15시 예상값으로는 한국기상청이나 미국 JTWC나 모두 태풍 풍속 기준인 17m/s를 상회하는 시속 65~68km의 강풍을 동반한 저기압으로 발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한국 기상청 종합영상(9.21 11:40 기준)

세력 예상은 한국과 미국 모두 별 차이는 없는데, 한국 기상청은 한반도 육지 부근에서 완전히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는 반면, JTWC에서는 아직 열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차이 정도가 있습니다.

이는 현재 열대저기압이 북쪽의 찬 공기와 부딛히는 단계에서 남하중이던 정체전선과 합쳐지는 상황이다 보니 중심부의 대류성으로 인한 상승류에서 전선대의 상승류로 저기압의 유지 요건이 넘어가는 상황은 확실한데 이게 칼로 무 잘라내듯이 딱 떨어지는 것이 아닌 연속단계의 상태이다 보니 약간의 해석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으로 보시면 됩니다.

CIMSS 제공 14호 태풍 풀라산(TD상태)의 적외선 이미지

실제로 지금 상황에서 열대저기압(Tropical Cyclone)에서 온대저기압(Extra-tropical Cyclone)으로 전환되는 것 자체는 시간문제의 영역이다 보니 약간의 시간차이에 의한 해석차이 정도로 보시면 될 듯 싶습니다.(일본 기상청은 미국과 동일한 값으로 예측하나 통영 인근에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 전망)

참고로 열대저기압이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될 경우 열대저기압 특유의 대칭성이 흐트러지고, 전선면이 나타나는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과 함께, 열대저기압 시기보다 훨씬 더 강한 강풍을 동반하고, 그 강풍구역도 넓게 퍼지는 경우가 많은 만큼 저기압이 통과하는 기간 동안 제주도와 남해상 일대의 풍랑및 호우특보는 한동안 이어지겠습니다.

특히 제주도의 경우 열대저기압이 몰고온 온난습윤한 공기로 인해 풍하측에 놓이는 산북지역을 중심으로 폭염특보까지 내려지는 상황으로 기상특보가 종료되더라도 기류로 인한 고온현상과 강풍 현상이 앞으로 2~3일 정도 더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