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49 98호, 90호 열대요란 정보 - 3호 태풍 문 발생 가능성과 또 다른 열대저기압 추가 발달 가능성(2025.07.01. 21:00 기준) 0. 들어가며장마철임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비는 오지 않고 바로 폭염이 이어지고 있는 6월 말에서 7월 초로 넘어가는 순간, 북서태평양의 상습 태풍 발생 구역인 필리핀 동쪽 해상에 98호 열대요란과 90호 열대요란 2개의 열대요란이 활동중에 있습니다.현 시점에서는 일본 남동쪽 먼 해상의 90호 열대요란이 3호 태풍 문으로 발달할 가능성이 높은 상태이며, 필리핀 동쪽 98호 열대요란의 경우 단기~중기 범위 사이에서 4호 태풍 다나스로 발달할 가능성이 있는 열대요란이라 볼 수 있습니다.1. 90호 열대요란 - TCFA 발령, 3호 태풍 문 발생 가능성현 시점 기준 열대요란 번호가 붙어있는 2개의 열대요란 중 JTWC에서 먼저 열대성 저기압(TD) 수준으로 발달할 가능서이 높은 것으로 보는 것은 일본 오가.. 2025. 7. 1. 3호 열대저기압(한국기준 5호 열대저압부) 발생 - 3호 태풍 문 발생은 미지수(2025.06.25. 15:00 기준) JTWC에서는 남중국해 해상의 96호 열대요란에 대하여 TCFA통보문 발령 후 불과 12시간만인 6월 25일 15시에 3호 열대저기압(TD 03W) 발생을 발표하고, 예상 경로도를 발표하기 시작하였습니다.(한국 기상청 기준 5호 열대저압부)현재 홍콩 국제공항에서 남남서쪽 약 430km 가량 떨어진 남중국해 해상에 자리한 이 열대저기압은 중심기압 1002hPa, 1분 평균 최대풍속은 시속 약 45km(25노트)로 태풍 기준 풍속에는 한참 미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다만 현재 위성 이미지를 보면 중심부의 대류운이 열대저기압 특유의 소용돌이 형상을 만들고 있고, 낮은 연직시어에 힘입어 저기압이 컴팩트화하는 모습이 보여,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열대저기압을 넘어 열대폭풍(태풍) 수준까지 올라서면서 3호 태풍 문으로 .. 2025. 6. 25. 2호 태풍 스팟 발생 및 진로정보(2025.06.23. 21:00 기준) 한국시간 기준으로 2025년 6월 23일 9시에 공식 발생한 2호 태풍 스팟은 6월 23일 21시 현재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에서 동쪽으로 약 80km, 일본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에서는 남남동쪽으로 약 1,00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27.0°N 143.0°E 인근 지점에서 일본 방향으로 시속 약 30km의 비교적 빠른 속도로 북북서진하고 있습니다.현재 태풍의 중심기압은 약 1002hPa, 1분 평균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75km(40노트)의 열대폭풍(TS)등급의 강도이며, 비교적 빠른 이동속도와, 동쪽에 자리한 북태평양 고기압과의 상대적인 기압경도차에 의해 중심기압 대비 다소 강한 수준의 평균 풍속을 나타내고 있습니다.일단 이 태풍의 진로는 북태평양 고기압 능선의 서쪽 가장자리를 따라 북서쪽 방향으로 .. 2025. 6. 23. 95호 열대요란 정보 - TCFA발령(2025.06.22. 09:00 기준) 1. 99호 열대요란 TCFA발령(원글)지난 6월 21일 95호 열대요란으로 식별부호가 붙은 북서태평양 구역의 95호 열대요란에 대해서 JTWC의 열대저기압 형성 경보(TCFA)가 발령되었습니다.TCFA발령 시점 기준으로 95호 열대요란은 일본 도쿄도 최남단 오가사와무라 제도에서 남동쪽으로 약 660km,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에서는 남남동쪽으로 약 1,600km 가량 떨어진 북태평양 해상인 22.3°N 146.2°E 지점에 자리하고 있으며, TCFA구역은 현 지점에서 북서방향으로 저기압이 이동하면서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습니다.공식 태풍 명명기관인 일본 기상청쪽에는 이 열대저기압 관련 자료가 올라오지 않았으나, 한국 기상청의 지상일기도에서는 22일 오전 9시 지상일기도 기준으로 4.. 2025. 6. 22. 1호 태풍 우딥 진로정보-48시간 범위에서 열대저기압으로 약화 후 2~3일 내에 우리나라 장마에 영향 전망(2025.06.13. 21:00 기준) 일단 이번 글은 어제(6.12)일 적었던 글의 내용보충에 가까울 것으로 보입니다. 세부 상황 변화가 좀 있기는 하지만 전반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는 상황입니다.참조 : 1호 태풍 우딥 정보(2025.6.12. 21:00 기준)와 94호 열대요란 1호 태풍 우딥 정보(2025.6.12. 21:00 기준)와 94호 열대요란1. 태풍 우딥 정보 - 바로 옆에 있다 비바람을 얻어맞은 베트남 다낭 일대1호 태풍 우딥은 현재 중국 하이난 싼야 펑황 국제공항에서 남남서쪽으로 약 100km, 베트남 다낭 국제공항에서는 북동쪽으typhoon-air.tistory.com 1호 태풍 우딥은 중국 하이난 싼야 펑황 국제공항에서 서북서쪽으로 약 130km가량 떨어진 통킹만 남쪽 해상인 18.8°N 108.3°E 인근 지점에서 중.. 2025. 6. 14. 1호 태풍 우딥 정보(2025.6.12. 21:00 기준)와 94호 열대요란 1. 태풍 우딥 정보 - 바로 옆에 있다 비바람을 얻어맞은 베트남 다낭 일대1호 태풍 우딥은 현재 중국 하이난 싼야 펑황 국제공항에서 남남서쪽으로 약 100km, 베트남 다낭 국제공항에서는 북동쪽으로 약 180km가량 떨어진 남중국해 해상인 17.4°N 109.2°E 인근 지점에서 시속 약 13km의 속력으로 북서진하고 있습니다(285Deg, 7KTs)미국 JTWC에서 해석한 태풍의 중심기압은 약 988hPa, 1분 평균 최대풍속은 시속 약 92~93km(50노트)의 열대폭풍(TS) 단계 맨 윗부분까지 올라선 상태이며, 하이난 서쪽 해상을 지나 통킹만에 진입하기 이전 강한 열대폭풍(STS)등급까지 추가로 더 발달할 것으로 보입니다.(한국 기상청 기준 강도 2)다만 통킹만 진입 직후부터는 하이난과의 마찰이.. 2025. 6. 12. 1호 태풍 우딥 발생정보와 2025년 장마 시작 예측(2025.06.11. 15:00 기준) 1. 1호 태풍 우딥 발생북서태평양 구역의 태풍 명명권을 가진 일본 기상청에서는 한국시간 2025년 6월 11일 15시 기준으로 1호 태풍 우딥(2501 Wutip)이 남중국해 해상에서 발생하였음을 발표하였습니다.92호 열대요란에서 태풍으로 발달한 1호 태풍 우딥은 6월 11일 15시 현재 중국 하이난 싼야 펑황 국제공항에서 동남동쪽으로 약 360km가량 떨어진 남중국해 해상(파라셀 제도 인근)인 16.7°N 112.4°E 인근에서 서북서진하고 있으며(290Deg, 15KTs) 강도 해석을 살펴보면 미국 JTWC에서는 중심기압 약 995hPa, 1분 평균 풍속 시속 약 55km(30노트)의 열대저기압으로, 일본 기상청에서는 10분 평균 풍속 시속 약 65km(35노트), 한국 기상청은 10분 평균 풍속을.. 2025. 6. 11. 92호 열대요란 - TCFA발령, 1호 태풍 우딥 발생 가능성(2025.06.10. 15:00 기준) JTWC에서는 한국시간 기준으로 2025년 6월 10일 15:30부로 필리핀해 해상의 92호 열대요란에 대해 열대저기압 형성 경보(TCFA)를 발령하였습니다.동시에 북서태평양 태풍 명명권이 있는 일본 기상청(RSMC Tokyo)과 한국기상청에서도 각각 열대저기압(열대저압부) 통보문을 발표하면서 1호 태풍 우딥의 발생이 가시권에 들어오는 상황이 되었습니다.현재 92호 열대요란의 위치는 홍콩 국제공항에서 남쪽으로 약 760km가량 떨어진 남중국해 해상인 15.4°N 114.2°E 인근 지점이며, 중심기압 약 998hPa, 1분 평균 최대풍속은 시속 약 30~40km(18~23노트)의 저기압으로 몬순성 순환장에서 열대저기압으로의 전환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실제 이 92호 열대요란의 주변 환경을 살펴보면.. 2025. 6. 10. 92호 열대요란 - 태풍 발달과 별개로 장마에 영향줄 듯(2025.06.09. 15:00 기준) 지난 포스팅에서 1호 태풍 우딥 가능성까지 생각했었던 92호 열대요란의 위치가 필리핀 루손을 가로질러 남중국해 해상으로 이동한 상태입니다.한국기상청 지상 일기도에서 필리핀 서쪽의 저기압(1002hPa)으로 표시되는 92호 열대요란의 현재 위치는 홍콩 츠자레오 국제공항에서 남남서쪽으로 약 705km가량 떨어진 남중국해 해상(16.5°N 116.6°E 부근)이며, 중심기압 1002hPa, 1분 평균 최대풍속은 시속 약 20~30km(10~15노트)가량 되는 상태입니다.통상 필리핀 동쪽의 열대요란이 루손을 가로질러 남중국해 해상으로 이동할 경우 육지와의 마찰로 그 구조가 와해되거나 저기압 자체가 아예 흐지부지되는 경우가 많으나, 이번 92호 열대요란은 높은 해수면 온도에 힘입어 여전히 그 구조를 어느 정도 유.. 2025. 6. 9. 이전 1 2 3 4 ··· 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