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양과 바다의 경계 - 1.6 켈트 해, 1.7 영국 해협(라 망슈)[1.7.1 도버 해협(파 드 칼레)], 1.8 비스케이 만(가스코뉴 만) 1.6. 켈트 해 켈트 해(Celtic Sea) 혹은 셀틱 해는 브리튼 섬과 아일랜드 사이의 바다 중 가장 남쪽에 자리하는 구역입니다. 이 바다의 서쪽 끝은 대서양 먼 바다로 탁 트여있어 경계로 삼을 지형지물이 특별히 없는데요, 이런 이유로 해상에 가상의 지점을 두고 이 지점들을 연결하는 선을 경계로 하고 있습니다. 다만 해당 지점들의 의미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닌데요, 해당 지점들의 안쪽은 상대적으로 얕은 바다인 대륙붕에 해당하는 해역이며, 이 경계선 바깥쪽부터는 본격적인 북대서양의 대양저가 시작되는 곳에 해당합니다. 1. 북쪽 경계 아일랜드 남서쪽 해안의 미젠 헤드 51°27'N 9°49'W 지점에서 아일랜드의 남쪽 해안선을 따라 아일랜드 남동쪽 끝자락인 카른소어 포인트(Carnsore Point) 5.. 2022. 2. 28.
해양과 바다의 경계 - 1.3 스코틀랜드 서해 연안 내해, 1.4. 아일랜드해, 1.5 브리스톨 해협 1.3 스코틀랜드 서해 연안 내해(INNER SEAS OFF THE WEST COAST OF SCOTLAND) 스코틀랜드 서해 연안 내해는 브리튼 섬 북서부 해안선 일대를 의미합니다. 아일랜드 북쪽과 스코틀랜드 서쪽 사이의 바다이며, 피오르 지형으로 형성된 다도해를 이루고 있습니다. 1. 북쪽 경계선 : 루이스 섬(Isle of Lewis) 최북단인 버트 오브 루이스(Butt of Lewis) 58°31'N 6°16'W 지점과 브리튼 섬 북서단인 래쓰 곶(Cape Wrath) 58°38'N 5°00'W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 북쪽 경계선과 접한 바다 : 북대서양 외해 2. 동쪽 경계선 : 브리튼 섬 북서단 래쓰 곶(Cape Wrath) 58°38'N 5°00'W 지점에서 스코틀랜드의 서쪽 해안선을 따라 스.. 2022. 2. 28.
유럽폭풍(European Windstorm) 유사사례 겨울철 유럽지역에서 매우 강력한 폭풍이 쓸고 지나간다는 뉴스가 한두번씩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관련기사 1. 유럽, 폭풍 시애라 강타(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2111576730751) - 2020년 2월 기사 2. 유럽 덮친 시속 196km폭풍(https://www.yonhapnewstv.co.kr/news/MYH20220220002400038) - 2022년 2월 기사 3. 폭풍이 만든 그림(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602111728586540) - 2016년 2월 기사 일단 이 폭풍의 정체는 열대저기압이 아닌 북대서양에서 발달한 매우 강력한 온대저기압인데요(상세한건 아래 링크 참조) 사실 북대서양뿐.. 2022. 2. 21.
해양과 바다의 경계 - 1.1 스카게라크 해협(Skagerrak)과 1.2 북해(North Sea) 이번 포스트는 북대서양의 부속 해역 중 하나인 스카게라크 해협과 북해의 범위입니다. 1.1. 스카게라크 해협(Skagerrak) : 스카게라크 해협은 덴마크와 노르웨이 사이에 있는 해협으로 북대서양과 발트 해의 경계가 되는 해협입니다. 스카게라크의 정확한 의미는 불명이나 스카겐 해협(Skagen Channel / Strait)의 의미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스카겐(Skagen)은 덴마크 유틀란드 반도 최북단의 지역 이름이자 돌출부의 곶(cape)에 붙은 이름이며, 뒤에 붙은 rak는 노르웨이어나 스웨덴어에서 직선으로 뻗은 물길을 의미하는 접미어 -rak에서 왔다는 설과 네덜란드어에서 좁은 수로를 의미하는 -rak에서 왔다는 설이 있는데 어느쪽이든 약간은 좁은 물길(해협)과 관련이 있는 이름으로 짐작됩니다... 2022. 2. 19.
해양과 바다의 경계 - 10. 남극해 남극해(Southern Ocean)의 경우 사실 경계고 뭐고 할 것이 없습니다. 그냥 남위 60도선(60°S)을 따라 선을 그은 다음 그 남쪽 바다는 죄다 남극해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원래 Southern Ocean이라는 용어는 직역하면 "남쪽 해양" 혹은 "남해양"에 가깝겠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남극해라는 용어를 일반적으로 더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남위 60도선은 위선상에 걸치는 육지가 하나도 없는 위도선으로 남극해와 북쪽에 접해있는 바다와 지형상 확연하게 구분되는 지점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이 남위 60도선의 의미는 남극조약과 남태평양 비핵지대 조약과 라틴아메리카 비핵지대 조약과 같은 국제 조약에서 남극과 다른 지역을 구분하는 인문지리 쪽 경계선으로 사용되는 지점으로 해당 범위 남쪽 구역에 남극.. 2022. 2. 16.
해양과 바다의 경계 - 9. 북극해(Arctic Ocean) 북극해는 북극을 중심으로 둘러싸고 있는 바다로 극지 특성상 남쪽 방향으로의 경계선만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 포스트에서의 서술은 편의상 날짜변경선(동경/서경 180도선)에 가까운 돌출부인 추코스키반도부터 시작하며, 북극점을 위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면서 서술합니다. 1. 남쪽 경계 러시아 시베리아 동쪽 추코스키 반도(Poluostrov Chukotskiy) 해안선의 66°22’N 170°35'W 지점에서 서쪽 방향으로 러시아, 스웨덴, 노르웨이 해안선을 지나 노르웨이 서해안의 60º51'N 4º40'E 지점까지 이동 노르웨이 서해안의 60º51'N 4º40'E 지점에서 위도 60º51'N선을 따라 바다를 가로질러 영국령 머클 플루가 제도 북단 60°51'N 0°53'W 지점까지 직선으로 .. 2022. 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