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장마기록 - 관서용 관측소 일별 강수 현황(6.20.~6.23.) 기상청 지역별 상세관측값(신규) 중 관서용 AWS(자동기록장치)에 기록된 일별 강수 현황(하루 누적)값 현황입니다.공식 자료는 아닌 참조용 자료이나, 전국 주요지점의 일별 강수량 변화를 확인하는데는 큰 무리가 없는 값이라 볼 수 있습니다.장마로 인한 강수기록이 시작된 6월 20일부터 첫 주말인 23일까지의 값이며, 중간의 빨간색 글자는 해당 일자의 기록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날이어서 완전히 신뢰하기는 조금 어려운 값임을 감안하고 보셔야 합니다.관측소명6월20일6월21일6월22일6월23일합계속초--8.317.726북춘천--13.7316.7철원--727.534.5독도--13.50.514동두천--15.64.720.3파주--10.4717.4대관령--16.511.227.7춘천--15.64.520.1백령도--4.96.. 2024. 6. 24. 2024년 장마 시작 - 6월 20일 언저리부터 시작할 듯(2024.06.17. 기준 예상) 지난 6월 14일에 올린 포스팅에서 2024년의 장마 시작 시점을 대략 6월 21일을 전후한 시점으로 내다보았었는데, 당시에는 120시간 너머 시점인 150~180시간 기준 예상이어서 어느정도 오차가 있는 상황이었습니다.가시권에 들어오기 시작한 2024년 장마 시점(2024.06.14. 기준) (tistory.com) 가시권에 들어오기 시작한 2024년 장마 시점(2024.06.14. 기준)2024년 6월에 들어서면서 대만-일본 남쪽 태평양 해상 사이에 정체전선이 보다 뚜렷하게 형성되기 시작하였고(형성 자체는 5월 무렵부터 형성되기 시작), 6월 중순이 되면서부터 이 전선대의 활성typhoon-air.tistory.com이후 3일이 지난 6월 17일 현재 72시간 예측 범위에서 2024년 장마 시작시점이.. 2024. 6. 17. 가시권에 들어오기 시작한 2024년 장마 시점(2024.06.14. 기준) 2024년 6월에 들어서면서 대만-일본 남쪽 태평양 해상 사이에 정체전선이 보다 뚜렷하게 형성되기 시작하였고(형성 자체는 5월 무렵부터 형성되기 시작), 6월 중순이 되면서부터 이 전선대의 활성화가 눈에 띄게 확연해짐에 따라 이제 2024년 장마 시작 시점과 관련한 이야기를 슬슬 지작할 때가 되었다고 생각됩니다.현 시점인 6월 14일 기준 지상일기도를 살펴보면 장마전선(정체전선)은 중국 남부에서 오키나와, 일본 남쪽 태평양 먼 해상(북위 29~32도선 부근 구역)에 동서로 길게 뻗어 있으며, 상층의 제트기류(장마전선 북쪽 빨간 선)과 하층의 제트기류(장마전선 남쪽 보라색 구역)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기류를 불어넣으면서 장마전선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되는 상황이 보입니다.이를 위성 이미지에 대입하여 보면 위와 .. 2024. 6. 14. MSN의 7월 한달내내 비 예보 검증결과 지난 7월 초, MSN이 한달 장기예보를 '7월 한달 내내 3일 빼고 비'예보를 한 것에 대해서 대체 뭔 깡으로 이런식의 예보를 하는건가 싶다는 글을 올린적이 있었는데요, 이제 7월도 다 지나갔으니 이에 대한 결과를 확인해 보고자 합니다.관련 글 : https://typhoon-air.tistory.com/804 MSN 7월 날씨 전망 되짚어보기7월 1일이 되면서 지난 5월부터 떠돌던 '7월 한달내내 비' 괴담의 검증을 바로 시작해 보려고 합니다. 당시 온라인에서 퍼진 이 내용을 보자마자 제 머릿속에 처음 든 생각은 "대체 간이 얼마나 부typhoon-air.tistory.com일단 맨 위의 캡쳐 화면에서 지역은 대한민국 서울이며, 나온 문구는 다음과 같습니다이번 달은 대부분비일 것입니다. 평균 일일 최.. 2023. 7. 31. 2023년 장마 종료?(2023.07.26.) 1. 장마 종료 소식 7월 26일 갑자기 장마가 종료되었다는 좀 뜬금없는 소식이 들어왔습니다. 개인적으로는 29일을 전후로 한반도 전역의 장마가 종료될 것이라 생각하고 있어서 조금은 당황스러운 뉴스였는데요, 정확히는 중부와 남부지방의 장마가 종료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기상청의 위성 이미지를 살펴보면 장마전선 자체는 현재 북한지역인 평안북도와 함경도 일대에 걸쳐져 있고, 그 바로 남쪽에 5880선이 경기 북부 인근까지 밀고 올라온 상태입니다. 다만 500hPa영역 일기도에서 확인되는 상층 한랭 온도골의 영향으로 장마전선과 무관하게 북태평양 고기압 세력권 안쪽임에도 불구하고 중부와 남부지방은 매우 강한 대기 불안정이 발생하여 곳곳에 소나기구름이 강하게 발달하고, 곳에 따라 뇌운현상이 나타나기도 하는 것.. 2023. 7. 26. 5호 태풍 독수리 진로 정보 - 대만 관통 후 중국 푸젠성 상륙 전망(2023.07.22. 21:00 기준) 5호 태풍 독수리는 현재 필리핀 마닐라 국제공항에서 동쪽으로 약 1,00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4.5°N 130.3°E 인근 지점에서 시속 약 5.6km(3노트)의 느린 속도로 서북서진(방위각 290도)하고 있습니다. 현재 태풍의 중심기압은 993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74km(40노트)의 열대폭풍(TS)등급으로 발달하였으며, 초기 몬순저기압에서 열대폭풍 단계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있었던 중심부의 불확실성은 현 시점에서는 완전히 사라진 상태이며, 현재 적외선 위성 이미지를 보면 중심부 식별이 확실히 되는 열대폭풍 특유의 형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였습니다. 단기 전망을 보면 일단 태풍의 발달 강도는 꽤 급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태풍이 자리하고 있는 필리핀 동쪽 해상은 1제곱센티미터당.. 2023. 7. 23.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