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호 열대요란 정보 - 아직은 뭔가 애매한 상황(2023.05.02. 15:00 기준) 지난 4월 30일 21시 기준으로 식별부호가 붙은 93호 열대요란 관련 정보입니다. 팔라우 인근에서 발생한 이 열대요란은 발생 직후에는 별다른 조짐도 없었고, JTWC의 식별부호도 붙지 않았었으나 5월 2일 갑자기 열대저기압(TD)발생 가능성이 중간 단계로 올라서는 상태가 되었습니다. 현재 이 열대요란의 위치는 필리핀 남부 다바오의 관문 공항인 프란치스코 반고이 국제공항에서 동북동쪽으로 약 23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8.2°N 127.5°E 인근 지점에서 중심기압 약 1006 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37km(20노트)의 세력으로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 방향으로 이동중에 있습니다. 일단 이런 발달속도라면 2호 태풍 마와르의 발생 여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상황일 수도 있겠으나, 문제는 순환장을 제.. 2023. 5. 2. 강원도 동해안(삼척시) - 뭔가 아쉬웠던 초곡 용굴 촛대바위길 5월 첫주 노동절 연휴 간만에 고향 집에 내려가 방바닥을 긁으며 어디갈까 고민하다가 얼마 전 개방했다던 초곡 용굴 촛대바위길을 가 보기로 하였습니다. 초곡마을은 황영조 마을로도 알려져 있는 마을인데, 사실 동해안의 작은 어촌마을로 사람이 그렇게 많이 몰리는 곳은 아니었으나 2019년 7월 이 해안 산책로가 개방된 이후 꽤 많은 사람들이 몰려오는 곳이 되었습니다. 원래는 육군 제23사단의 해안경계 철책으로 출입이 통제되는 곳이었으나 산책로를 설치하면서 거의 70년만에 일반에 개방된 구역이 되었습니다. 주차장은 본래 초곡항의 물양장을 활용하는데 초곡항 자체가 그렇게 큰 항만이 아니다 보니 주차장 자체의 크기는 작은게 아니지만 몰려오는 차량 숫자에 비하면 아주 넓은 곳은 아니었습니다. 만일 여기가 만차라면 위.. 2023. 5. 2. 1호 태풍 상우 약화 이후 상황(2023.04.25. 15:00 기준) 한국시간으로 지난 4월 20월 20일 오후 3시에 공식 발생하였던 1호 태풍 상우는 발생 이틀만인 4월 22일 오후 9시 무렵 열대저기압으로 약화하면서 공식 태풍 소멸 판정을 받았습니다.(괌 국제공항 동남동쪽 약 1150km인근 해상) 그러나 태풍이 열대저기압으로 약화하였다고 하여도 바로 소멸하는 것이 아니라 남은 잔여물은 그대로 이동중인데요, 이 남은 잔해는 4월 25일 15시 현재 기준으로 괌 국제공항에서 남동쪽으로 약 520km가량 떨어진 위치인 10.5°N 148.6°E 인근 지점에 저기압의 중심부가, 그 뒤쪽으로 동반된 비구름대가 따라오는 형상으로 이동중에 있습니다.(중심기압 1010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28km[15노트]) 처음 1호 태풍 상우 발생 관련 포스팅을 할 때 태풍 자체는.. 2023. 4. 25. 1호 태풍 상우 발생(2023.04.20. 15:00 기준) 북서태평양 태풍 공식 판정을 하는 일본 기상청(RSMC-JMA)에서는 한국시간 기준으로 2023년 4월 20일 15시 기준으로 1호 태풍 상우가 발생하였음을 발표하였습니다. 12시 현재 1호 태풍 상우의 위치는 괌 국제공항에서 동남동쪽으로 약 143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9.0°N 157.1°E 인근 지점이며, 중심기압은 1003hPa(15시 기준 한국 기상청 해석은 1000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65km(35노트)의 열대폭풍(TS) 세력이며 시속 약 24km(13노트)의 속도로 북북서진(방위각 350도)하고 있습니다. 일단 1호 태풍 상우의 수명 자체는 그렇게 길지 않을 전망인데, 대다수의 국제 예보 모델들은 48~72시간 이후 열대폭풍(TS)에서 열대저기압(TD)으로 약화할 것으로 전망하.. 2023. 4. 20. 92호 열대요란 발달정보(2023.04.19. 15:00 기준) - 1호 태풍 상우 발생 가능성 한국시간으로 지난 4월 16일 15시에 식별부호가 붙은 92호 열대요란이 발달을 지속, JTWC에서 4월 19일 03시부로 이 열대요란이 24시간 내에 열대저기압(TD) 단계로 발달할 가능성을 중간(Medium, 40~60%)단계로 상향, 이후 6시간만인 09시부로 TCFA통보문이 발령되면서 1호 태풍 상우 발생까지도 내다볼 수 있는 상황으로 진입하였습니다. 이어 15시에는 RSMC를 담당하는 일본 기상청과 한국 기상청에서 동시에 열대저기압 통보문을 발표하는 등 1호 태풍 상우 발생 가능성이 꽤 높다고 볼 수 있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사실 발생일인 4월 16일 이후 이틀동안 JTWC에서 별다른 마커도 붙이지 않고 있던 상태였는데 낮음 단계를 사실상 건너뛰고 바로 중간단계와 TCFA단계로 올라선 것으로 봐.. 2023. 4. 19. 1호 열대저압부 약화 정보 - 2023.04.12. 15:00 기준 어제 올린 포스팅에서 1호 열대 저압부(미국 기준 90호 열대요란, 필리핀명 AMANG)의 태풍 상우 발달 가능성에 대해 미국JTWC와 필리핀 기상청의 전망과 한국, 일본 기상청의 전망이 엇갈린다고 말씀드렸었는데 현 시점에서 결과적으로 보면 미국과 필리핀쪽에서 예상한대로 태풍 단계까지는 발달하지 못하고 TD단계에서 약화하는 것으로 흘러가게 되었습니다.(덕분에 1호 태풍 상우 발생 시기는 좀 더 뒤로 밀리게 되었네요) 현재 1호 열대저압부(90W)의 위치는 필리핀 마닐라 국제공항에서 동남동쪽으로 약 330km가량 떨어진 해상인 14.0°N 124.0°E 인근 지점이며, 중심기압은 1004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37km(20노트)가량으로 저기압의 발달 자체는 거의 없었고, 오히려 절반 이상이 필리핀.. 2023. 4. 12. 이전 1 ··· 45 46 47 48 49 50 51 ··· 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