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허리케인 및 사이클론

열대저기압 에마(TD-Ema) 정보와 하와이 영향 여부(10월 14일 3:00기준)

by 의솔아빠 2019. 10. 14.
728x90

TD-Ema JTWC 통보문 #6

9월 12일 하와이 인근에서 열대폭풍으로 성장했던 에마(Ema)는 현재 그 세력이 약화, 현재는 열대저기압(TD)로 한 단계 강등당한 상태로 하와이 북서쪽 방향으로 이동중에 있습니다.

2019/10/12 - [2019년/중부, 동부 태평양 허리케인(2019년)] - 하와이 인근 열대폭풍(TS) 에마(Ema) 발생

 

하와이 인근 열대폭풍(TS) 에마(Ema) 발생

앞서 전해드렸던 하와이 인근 열대요란 92C가 열대폭풍(TS) 등급으로 올라서면서 Ema라는 명칭이 부여 되었습니다. 2019/10/12 - [2019년/열대요란(2019년)] - 하와이 인근 92호(92C) 열대요란 발생 하와이 인근 9..

typhoon-air.tistory.com

당초 발생 위치로만 보면 하와이가 위험반원에 들어오기는 했지만 워낙에 세력이 작고 약했던 덕분에 하와이 제도 전체로 보면 당시 카우아이섬에만 폭우상황이 생기고 남서쪽 해안가를 중심으로 강풍과 풍랑주의보 정도가 발효된 것이 전부였습니다.

현재도 하와이 남서부 해안가 일대로 강풍주의보(Small Craft Advisory)가 내려져 있기는 한데 10월 15일경(원주민의 날/콜럼버스의 날)에 해제될 것으로 전망되어 열대저기압 에마의 영향은 딱히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후 이 열대저기압은 계속 북서진, 미드웨이 방향으로 향하면서 서서히 세력이 약화, 소멸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여담으로... 이 열대저기압 에마는 올해 들어 중부 북태평양(CPHC) 구역에서 발생한 1호 열대저기압입니다. 하와이에 영향을 미쳤던 나머지 열대저기압은 전부 NHC에서 담당하는 북동태평양구역에서 넘어온 것들이었네요...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