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태풍정보/2019년(18호 태풍부터 기록)

26호 태풍 갈매기 진로 정보(11월 15일 06:00기준)

by 의솔아빠 2019. 11. 15.
728x90

JTWC제공 26호 태풍 갈매기 통보문 #9 구글어스 대입 이미지

26호 태풍 갈매기는 현재 16.1°N 126.0°E 지점에 자리하고 있으며 이 위치는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530km, 바기오 동쪽 약 570km지점에 해당하는 곳 해상입니다.

현재 태풍의 중심기압은 1003hPam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55~56km수준으로 미국 JTWC에서는 이 태풍을 태풍이 아닌 열대저압부(TD)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일단 태풍의 예상 진로는 필리핀 루손섬 북쪽 지역을 관통하여 남중국해 해상으로 향하는 것은 기정사실화 된 상황이고요 문제는 남중국해 진출 이후 예상 진로입니다.

한국 기상청 제공 지상일기도

현재 지상일기도 상황을 보면 차가운 대륙 고기압이 중국 남부지방까지 내려와 있는 상황이며 이 고기압이 태풍의 북상을 막고 있는 상황이라 보시면 됩니다. 이 때문에 태풍 진로가 중국이나 대만, 베트남 북부 지방으로는 향하지 못할 것으로 보이는 상황이고요

한국 기상청 제공 500hPa일기도

고층 일기도인 500hPa 영역에서 보면 방글라데시를 중심으로 하여 거대한 온난고기압의 봉우리가 하나 자리하고 있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요인을 야매스럽게 감안해 보면 하층부는 대륙고기압이 중국쪽까지 내려와서 태풍의 북상을 막고 있고 5000m이상 고도 영역에서는 고기압 산봉우리가 베트남 북부~중부 방향으로의 진행을 막고 있는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결국 남은 진로는 남서쪽 방향(베트남 남부지역~베트남 남부 해상)밖에 없는데 현재 남중국해 해상의 온도는 26~28도 수준으로 낮은 온도는 아니지만 이전 태풍들이 지날 때 보다는 꽤 많이 식어있는 상태(1~2도 정도 하강)라고 할 수 있어서 태풍이 필리핀 통과 이후 재발달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얼마나 얻을 수 있을지 애매한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GFS나 JTWC에서는 이 태풍이 추가적인 에너지를 얻지 못하고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면서 소멸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이 경우 태풍이 베트남에 상륙하더라도 바람에 의한 피해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이며 그냥 베트남 남부지역 해안가 일대에 좀 많은 비를 뿌리고 가는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중간에 소멸할 가능성이 높더라도 그 위치와 시점에 따라 영향을 주는 곳이 달라질 수 있으니 당연히 경로 정보는 계속 들여다 봐야 할 상황이네요(상대적으로 더 강력한 태풍임에도 사람 사는 곳을 하나도 지나지 않아 무관심 태풍이 되어버린 25호 펑선과는 완전히 다른 상황입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