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정보/2020년

16호 태풍 낭카 발생정보 및 94호 열대요란 정보(2020.10.13. 06:00기준)

의솔아빠 2020. 10. 13. 08:58
728x90

JTWC 메인화면

현재 북서태평양 상황은 14호 태풍 찬홈이 열대저기압으로 약화하면서 소멸단계에 들어선것과 15호 태풍 린파의 베트남 상륙 이후 소멸, 16호 태풍 낭카 발생 및 필리핀 동쪽 94호 열대요란 발달로 요약할 수 있을 듯 싶습니다.

일단 14호 태풍 찬홈은 일본에 간접영향을 미친 뒤 남동쪽으로 진로가 휘어지면서 더 이상 영향을 주는 육지가 사라지면서 아예 관심권 밖으로 나갔다가 이제서야 열대저기압으로 약화하면서 소멸단계에 들어선 상황입니다. 15호 태풍 린파도 베트남에 상륙하자마자 급속도로 약화, 하루도 채 지나기 전에 소멸한 상태이고요.

16호 태풍 낭카

1. 16호 태풍 낭카는 어제 오전 발생임박 소식을 알려드렸었는데 16호 태풍 낭카로의 인정은 오후 3시였습니다.

일단 현재 위치는 18.5°N 113.2°E 부근으로 중국 하이난 싼야 펑황 국제공황(봉황공항) 동쪽 약 400km지점 해상입니다.

현재 태풍의 중심기압은 995hPa, 중심최대풍속은 시속 약 74km수준이며, 예상 진로는 중국 하이난을 동서로 횡단한 뒤 통킹만에 진출, 이후 베트남 북부(탄 호아 부근) 해안선으로 상륙하는 경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하이난 상륙 직전에는 중심최대풍속이 시속 80km를 넘어서는 강도까지는 발달할 것으로 보이지만 하이난 상륙으로 발생하는 에너지 공급 차단과 육지와의 마찰로 이 이상의 강도로는 발달하지 못할것으로 예상됩니다.

10월 14일 무렵 통킹만 진출 이후에는 일시적으로 재발달을 하겠지만 이 시점에서는 24시간 이내에 베트남 해안에 상륙하게 되면서 다시 급속도로 약화, 베트남-라오스 국경지대에서 소멸할 것으로 예상이 되는 상황이고요.애초에 이 경로를 따르는 태풍의 경우 주변 발달 조건이 양호하더라도 물리적인 발달시간이 얼마 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에는 하이난이라는 육지와의 이른 만남으로 그 발달이 극도로 제한될 것으로 보입니다.


2. 94호 열대요란 정보

어스널 스쿨 캡쳐화면

94호 열대요란은 현재 10.8°N 128.3°E부근 지점에 자리하고 있으며 필리핀 세부에서 동쪽으로 약 480km떨어진 필리핀해 해상에 해당하는 곳입니다.

일단 이 열대요란은 당장의 발달보다는 앞선 린파나 낭카와 마찬가지로 서북서진을 하면서 필리핀 일대를 관통한 뒤 필리핀 서쪽 해상에 진출하면서 열대저기압으로의 발달이 유력한 상황입니다.

한국 기상청 지상일기도
한국 기상청 850hPa영역 일기도
한국 기상청 500hPa영역 일기도

종종 10월에 필리핀 동편에서 기원한 태풍이 한반도 방향으로 북상하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현재 기압배치 상황에서는 이쪽 부근에서 발생한 태풍은 모두 필리핀 서쪽방향으로 향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일단 지상일기도 영역(하층)에서는 한반도 일대에 꽤 추운 날씨를 몰고온 대륙고기압이 중국 남부까지 깊숙한 형태로 들어와 있는 상황이고요 온도골 역시 이 기압능을 따라 같이 내려오면서 찬 공기가 북서쪽에서 바로 중국과 우리나라 방향으로 뚫고 내려와 있는 상황입니다.

이 상황에서 상층인 500hPa영역을 보면 대만-오키나와 부근에 5889짜리 산봉우리가 떡하니 자리잡고 있는 상황이라 이쪽 아래에서 발생하는 태풍이나 열대성 기상현상들이 북상하는 통로를 완전히 가로막고 있는 상황이 됩니다.

따라서 필리핀 동쪽에서 발생한 태풍들 중 북위 25도선 이상으로의 진출은 더 이상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728x90